조선의 탐식가들
김정호 지음 / 따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독서이고 그 다음은 아무래도 먹는 것이 아닐까 싶다. 맛있는 것을 보면 왠만해서는 그냥 지나가지 못하는 성격이라서 동생은 내가 집에 있는 것은 다 먹는 다고 타박하곤 한다. 그런데 어쩌겠나 맛있는 걸. 아무튼 내 일상에서 먹는 다는 것은 참 중요하다. 유독 입맛이 없거나 병이 들지 않는 이상 나는 항상 무엇인가를 먹거나 아니면 맛있는 것을 찾는다. 어쨌거나 이러한 나에게 조선시대의 먹는 것에 관해 담겨있는 이 책은 처음부터 아주 내 관심을 끌었다. 제목부터 탐식이라는 단어를 썼기에 얼마나 맛있는 것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을지 정말정말 궁금했다. 내가 모르던 조선시대의 음식문화라니 정말 기대만발이기도 했다. 유교적이념으로 나라를 꾸려가던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음식은 도대체 선비들에게 어떠한 의미이고 어떤 음식을 즐겼을지 정말 큰 기대를 가지며 봤다. 결과적으로는 매우 흥미진진한 음식세계였다. 아니, 다시 말하자면 조선시대의 탐식가들과 그 시대의 음식문화를 제대로 알게 되었다고 할까나?


 조선이 들어서기 전 왕조였던 고려 때는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고 한다. 조선이 들어서면서 고기를 먹는 그러한 식습관이 널리 퍼지면서 조선에서는 고기, 그것도 소고기를 제한했다고 하니 지금 생각하면 참 웃음이 나오기도 한다. 물론 농사가 그 당시 가장 중요했고 나라의 근간을 이루는 일어었으니 농사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에 대해 그렇게 규제하는 것이 시대를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기도 하다. 하지만 소도축을 금지하는 우금령은 그다지 잘 지켜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나라를 움직이는 양반층에서 즐겨 먹었다고 하니 나도 모르게 '피식'하게 된다. 예나 지금이나 소고기의 맛은 사람을 사로잡는 강력한 힘이 있나보다. 소고기는 참 맛있지 않은가. 어찌되었든 소를 둘러싸고 일어난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나를 흥미롭게 만드는데 이보다 더 재밌는 이야기가 다음에 흥미진진하게 펼쳐져서 참 재밌게 보았다. 


 우리나라 사람이 개고기를 먹는 것으로 인해서 과거 프랑스인 여자에게 무분별한 비난을 받았던 사실이 기억난다. 다른 나라를 알기 위해서는 자신과 타인의 다름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첫번째라고 여기는데 그녀는 뭔가 잘못 생각한 듯 하다. 아무튼 이러한 우리나라의 개고기사랑은 과거에도 강했다. 개를 가지고 하는 요리가 어떤 책에 8종류나 담겨 있기도 했고 일반 백성보다 양반이 개고기의 그 깊은 맛을 즐긴 듯 하니 놀랍기 그지 없다. 나는 아직 개고기를 먹을 기회가 없어 먹어보진 않았는데 정말 맛있나 보다. 과거에도 사랑받고 오늘날에도 논란이 있긴 하지만 사랑받는 고기라는 것은 틀림없는 개고기. 맛있나?


 소고기와 개고기를 거쳐 가장 내가 흥미진진하고 놀랍게 보았던 편이 있다. 그것은 바로 순채라는 채소이다.


 위에 보이는 사진이 바로 순채라는 채소이다. 조선시대에는 그렇게 흔히 보이고 많은 사람들이 즐겼던 음식재료인데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잊혀지고 이후에는 수많은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늪지가 사라지고 오늘날에는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 지정되어 버렸다는 불편한 진실을 가진 식물이다. 하여튼 그 일제강점기는 수많은 것들을 잃게 했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참...난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된 식물이다. 읽으면서 어머니께 이것으로 국해달라고 할 생각이었는데 그 부분을 다 읽으면서 "아뿔사!"


 제목에 걸맞게 음식을 즐기는 수준을 넘기는 사람들도 나오긴 했다. 심지어 개고기 맛이 없다고 만든이는 때려 죽이는 관리도 있었다니 놀랍기만 하다. 우금령을 내리면서도 자신은 소고기 없으면 밥을 먹지 않았다던 세종의 이중적인 모습도 알게 되었고 홍길동전으로 유명한 허균이 먹을거리 많은 곳으로 부임하기 위해 청탁을 했다는 사실도 접하게 되었다. 개고기를 좋아하는 고관에게 개고기를 바치며 청탁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요리책을 낸 선비의 이야기도 있었다. 항상 역사하면 어떠한 사건이나 인물중심으로 아니면 연대표를 중심으로 바라보았었는데 음식이라는 친숙하고 떨어질 수 없는 맛있는 요소로 조선시대를 바라보니 참 흥미로웠다. 음식들을 둘러싼 많은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 참 신기하기도 했고 생소하기도 했으며 재밌기도 했다. 저자의 엄청난 노력으로 인해서 이 책이 나왔을 걸 생각하니 참 감사하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도 오늘날처럼 음식을 좋하하고 즐기는 것은 다를바 없다는 생각이 든다. 비록 유교를 국시로 다스리는 나라였지만 말이다. 자신 스스로를 탐식가라고 한 허균처럼 나도 맛있는 음식들을 즐겨야 겠다. 물론 탐식까지는 안해야겠지~  참 맛있고 입맛이 땡기는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