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제가, 욕망을 거세한 조선을 비웃다
임용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사 [박제가 욕망을 거세한 조선을 비웃다] 임용한, 역사의 아침, 2012
“인간사회는 항상 두 얼굴이었다. 어떤 부분에서는 차별에 항의하는 듯 서로 돕고 정을 나누며 사는 사람들이 어떤 부분에서는 마치 자신이 받은 차별대우를 보상이라도 받으려는 듯 더 약한 자를 찾아내서 더욱 심하게 차별한다. 서얼 차별이 꼭 그런 경우였다.”
박제가도 서얼이고, 백탑파라고 불리던 박제가의 친구들도 대부분 서얼이었다. 그들은 차별 속에서 우리가 실학의 시대라고 부르는 17세기 18세기를 살았다. 그들은 차별 때문에 가난하다고 푸념을 했지만, “서민처럼 직접 농사일을 하지도 않았다. 한량한 이무기처럼 매일 서로 오고 가며 모였다. 한번 모였다 헤어지면 다음날 다시 이런저런 핑계로 누군가의 집에 간다. 그러면 마침 그곳에 누군가 있거나 또 찾아온다.” 물론 그들은 공부도 했다.
“박제가는 젊은 시절 봉선사에 들어가 글공부를 한 적이 있으며, 이덕무 유득공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딱 거기까지다. 우리가 실학자들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대부분 딱 그 정도 공부를 했다. “몇몇 실학자들에 대해서는 과장된 평가가 많다. 몇몇 이들은 모두가 다 아는 사회문제점을 좀 더 크게 이야기해서 눈에 띄었고, 어떤 이들은 부분적으로 선각자였고, 오히려 남들보다 더한 보수주의자도 또는 복고주의자도 있었다.”
박제가는 어떻게 평가될까? “박제가는 많은 시를 유산으로 남겼고, 이 시에는 그의 박학이 충분히 녹아 있다. 그러나 실용주의 개혁론자인 그는 정작 경세론이나 경학에 대해서는 평생 그럴듯한 대작을 남기지 못했다. <<북학의>>는 비슷한 책을 찾을 수 없는 명저이지만, 너무 분량이 짧고 체계적인 이론을 갖추지 못했다. 그 덕분에 문장이 더 예리해서 박제가의 외침과 고통이 처절하게 와 닿기만 한다.”
저자는 <<북학의>>를 “낙후된 조선사회의 현실을 폭로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 저술집”이라고 평가하며 버나드 맨더빌의 <<꿀벌의 우화>>와 비교 한다. “풍자시에 가까운 맨더빌의 발언을 두고 자본주의,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의 정당성 또는 폐단을 연상하거나 논쟁한다면 당신은 경제이론을 모르거나 경제이론을 우습게 보는 것이다.” 맨더빌에 대한 다른 평가도 있겠지만, <<북학의>>와 <<꿀벌의 우화>>의 공통점은 당시 사회상을 풍자했다는 정도다.
당시 사회상을 고려하더라도 박제가의 주장에는 많은 이의가 뒤따른다. 특히 중국어 공용화 주장이 그렇다. “중국어는 문자의 근본이다. 우리말을 버리고 중국말을 쓰자. 그래야 우리도 오랑캐(동이)라는 명칭을 면할 수 있다.” 박제가의 이러한 중국어 공용화 주장은 얼마 전 있었던 영어 공용화 주장과 같다. 우리가 영어를 모국어로 쓰면, 미국인이 되는가.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나이지리아인들은 나이지리아인들이고,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필리핀인들은 필리핀인들일 뿐이다. 그들에게 뉴스위크지나 타임지를 주고 읽어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애써 이해할 필요도 없다. 언어도 중요하지만, 강유원 선생의 말처럼 ‘사회관계망’이 더 중요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더 중요하다. 우리를 규정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며, 박제가를 규정하는 것은 조선이다.
조선이라는 사회관계망 속에서 박제가는 서얼이라는 현실의 벽을 넘어서지 못했다. 어쩌면 그는 서얼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안주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조선시대 집 나간 서얼은 홍길동밖에 없다.’는 말처럼 그의 서얼은 우리가 생각하는 홍길동의 서얼과는 다르다.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서얼은 (상위) 1%에 들어갈 능력과 자격이 있음에도 불합리한 이유로 참여를 거부당하고, 간간이 굶거나 빌어먹는 삶은 살아야 했다.” 그는 서얼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책을 먹고 덮고 하면서도, 책만 보고” 살았다. 학자로서 열심히 공부했다는 것이 아니라. 독서가로서 열심히 책만 보고 살았다는 이야기다.
박제가의 <<북학의>>는 “발상 전환을 요구하고 계몽하는 하나의 외침이며 하나의 대전제”를 제시했을 뿐이다. 맨더빌의 주장을 받아들인 아담 스미스가 <<국부론>>과 같은 명저로 맨더빌의 대전제를 체계화시켰듯이, 끊임없이 외칠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곳을 둘러보고 사회관계망을 체계화시키고 객관화시켜는 것이 지식인의 책무가 아닐까. 201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