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와 나는 한 팀이었다 - 성적의 가속도를 올리는 엄마 아이 팀워크
최성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처음에 책 제목이 뭔가 특이하다?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아이와 한 팀이라고?
보통 아이 공부법,전략,로드맵,비법, ~잡아라 이런 뉘앙스의 자녀교육 관해서 나올텐데
아이와의 관계를 중요시 여기면서 마라톤같은 공부의 장기전을 잘 이끌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장이더라고요.

가장 나쁜 교육은 아이에게 맞지 않는 교육 입니다. 그리고 세상에 모든 아이에게 똑같이 좋은 교육은 없습니다.
모두가 하다고 따라하는 방법으로는 아이의 학습의욕, 능력, 가능성을 결코 제대로 키울 수 없습니다.
내 아이가 꼭 해야하는 것 + 잘 할 수 있는것 + 할 수 없는 것 을 잘 조율해 나가야 합니다.
섣부른 판단과 포기 ,단정짓기, 초조함을 버리고 아이를 바라보세요
세상 누구도 아이게게 부모만큼의 사랑과 관심을 줄 수 없습니다. 아무리 비싸고 질 좋은 교육 이라도, 거기엔 획일화된 평가만 있을 뿐,
" 내 아이의 애정"은 전제되어 있지 않습니다.
평가는 세상에 맡기고, 과정을 함께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문구가 와닿네요. '과정을 함께하라' 이 책을 한 번만 읽었을 땐 잘 몰랐는데
이제 아이가 예비초등에 가까워질 쯤 다시 펼쳐보니 자꾸 잊고 있었던 것 같아요.
조급함에 다그치게 되고 아이에게 상처주는 말도 했었는데 말이죠

이제 초등이다보니 주위에 학원이나 학습지 하는 친구들도 많기도하고, 학원 다니는 양만에도 헉소리 나게 다니는 경우도 보니 대단한 것 같다. 그렇다고 사교육이 나쁘다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육아와 교육에 대한 자신만의 철학이 생기기도 전에 주변의 많은 정보들에 이리저리 휩쓸리다 보면 엉뚱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저자는 '적성검사와 지능검사 현명하게 활용하기' 로 인지적 검사를 원한다면 '웩슬러 지능검사를 ' , 정서적 검사를 원한다면 MBTI 검사를 받으라고 해요. 다만 MBTI 검사를 지나치게 맹신하는 것은 경계해야한다. 유형결과에 아이를 가두지말고, 아이의 성향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
전문가 분석이 필요한 아이는
- 부모에게 보이는 아이의 모습 vs 주변아이에 대한 평가가 크게 다를 때
- 자신의 욕구를 내보이지 않는 아이
- 또래에 비해 학습력이 매우 뛰어나거나, 반대로 발달이 더딘 아이
지능별로 카테고리화 하는 것이 부모들에게는 불편하게 느낄 수도 있는데, 저자는 케어방향의 지표일 뿐이라는것
즉, 아이의 어떤 부분을 발전시켜줘야하고 뭘 보완하도록 도와줄지 파악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생각해야 한다.
고로 IQ 110이상인 경우 영재교육 시작할 때
중위권 (IQ 90-109) 전략보다는 성실한 엉덩이 싸움
중위권인아이들은 2가지 유형으로 모범적이고 성실한 FM 유형, 영리하면서 또래집단과의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사회친화적인 예능
아들은 정말 모범,성실 FM 그자체인지라 이부분에 대해서는 단계를 건너뛰지 말고 뭐든지 처음부터 하나하나씩 차근차근 따라갈 수 있게 해줘야한다고해요.

잘해왔던 아이가 갑자기 우울감과 무기력함,교우관계로 갑자기 포기 하는 경우에 참 속상하죠.
부모마음 이란게 마음의 상처를 언제까지나 마냥 다독이고 달래줄 수 없는게 부모 마음이다. 상처를 받았다고 마음만 달래주다가 ,
그렇게 공부를 모른척 하다가 아이의 미래가 잘못되면 어쩌나, 불안한 마음이 들 수 있다. 부모의 마음은 늘 급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공부와 대학이 성공적인 인생을 보장하는 열쇠로 작용하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 말에 참 와닿고 부끄럽고 어렵다. 이렇게 되지 말아야하지만 나도 모르게 막상 상황에 마주하면
말실수를 내뱉곤 하니 말이다. 아무튼 공부보다 먼저 '네 편이 되어줄 것'이라는 강력한 믿음을 줄 수 있도록
정서적인 측면으로도 신경써줘야겠다.
강남 컨설턴트가 전수해준 ' 내아이 맞춤 ' 초등 공부 노하우 !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고민도 달라지는데 다시 이 책을 꺼내 읽어보니
그땐 와닿지 않았던 고민들이 이젠 와닿고, 다시 아이와 한 팀이 되는 관계과 학습전략에 대해 배워본 시간이였네요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