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기자의 미디어 대소동 - 종이부터 스마트폰까지 정보 전달의 역사 잇다 3
서지원 지음, 이한울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디어라고 들었을때 ' 스마트폰? 텔레비전?'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요. 미디어의 역사에 대해

이번 기회에 배워보면서 아이 사회 및 역사 배경지식에 많이 도움 될 거에요.

 

표지가 좀 인상적인데요. 외계인 같기도한 길고 뾰족한 귀와 긴 얼굴.. 연에인 이광수씨?느낌도 나고 뭔가 범상치 않은 포스 내뿜으니 이야기가 너무 궁금해지더라고요. 본문 내용의 시작하기 전에 앞서서 캐릭터 소개 글이 나와있더라고요

나대기 잡소식 신문사의 편집장겸 기자래요. 거기다 너트뷰 크리에이터라니 놀랐어요. 마을에 떠도는 소문을 기사로 내는가하면

사람들이 숨기고 싶어하는 이야기를 눈 깜짝할 사이 여기저기 퍼트리는데요. 크고 뾰족한 귀에는 비밀을 숨기고 있다고하니

더욱 더 캐릭터에 대해 궁금해지네요.

남의 소문을 여기저기 퍼트리는데, 그저 기자는 남의 숨겨진 이야기를 듣는게 재미있지 않냐며 미디어에 대해 뭘 아냐고 유식한척 하는데요.

생각해보면 우리도 가짜뉴스와 또 sns로 괜한 오해의 소문들로 억울하거나 속상한 일들이 많기도하죠. 읽어보면서 기자로써의 사명감과 더불어서 무분별하게 읽고 수용하면 안되겠구나 라는 점도 느껴보겠더라고요.

아무튼 처음에는 나대기 기자가 종이의 발명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데 알고보니 자신은 다른 기자들과 피라미드에가서 파피루스를 훔치다가

그만 저주에 걸린거라고 하네요.

 

그리고 시작 하기 전에 ' 미디어의 발달 순서에 맞춰서 되어있거든요' 종이가 만들어졌다면 인쇄술이 있죠

책 한 권 만드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아주 귀했으니 말이죠.

그러나 인쇄술의 발달로 책이 만들어지기 쉬워지면서 수많은 책이 쏟아졌고 누구나 책을 읽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죠.

왼쪽에는 그림과 3줄정도의 짧은 설명이 나와있고요. 그 옆에는 시대 순으로 발달 과정에 대해서 디테일하게 나와있어요

책 중간에는 '인물'에 대한 짧은 설명이 나와있는데요. 구텐베르크는 인쇄술을 개발하고나서 빚을 갚지 못해

파산하고 인쇄소도 동업자에게 빚 대신 넘겨주어야 했다고 해요. 인쇄술의 아버지 구텐베르크라고 그렇게 배웠는데 아무튼  구텐베르크 이후 '최초의 주간신문 <렐라티온>이 발행되었고 신문의 영양혁은 대단했다고해요

각 장의 삼총사이야기 끝나면 '앞서 나온 미디어에 혁명을 일으킨 사람들과 발명품'에 대한 설명이 디테일하게 나와있어요

전화기는 발명초기에는 주로 회사나 상점 등에서 업무 목적으로 사용했는데, 1893년 벨의 전화기 특허권 만료된 후, 곳곳에 생겨난 전화 회사들은 전화기를 팔기 위해 상류층 여성들을 공략했어요. 전화로 사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며 '사교'의 기능을 강조한 거예요.

종이 > 인쇄술 > 전화 > 라디오와 텔레비전 > 인터넷 > 스마트 미디어 !로

마지막에는 '스마트 미디어 윤리' 에 대해 나와있어요. 1인미디어고 누구나 꼭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미디어의 윤리에 대해서도 아이교육 꼭 시켜야한다고 하는데 책을 통해서 아이에게도 왜 이런 행동이 안 좋은지

또 주의해야할 점들이 무엇인지도 배워볼 수 있었던 시간이였어요.

다른사람의 권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보호하는 것. 인터넷상에서 거짓 정보를 만들지 않고 악성 댓글을 달지 않고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마음대로 복사해서 퍼트리지 않는 것! 미디에서 넘쳐 나는 정보 중에서 믿을 만하고 의미있는 정보만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고요. 그게 바로 미디어 윤리예요!

 

 

 

아무래로 방학때에 미디어 티비나 컴퓨터 스마트폰에 많이 노출되서 갈등도 날텐데요

최근에는 tv프로그램보니 게임사기당한 초등 혹은 미디어으로 성..문화역시 참 안타까운데

한 번 이 책 읽어보며 윤리의식과 더불어 사회,세계사 배경지식 쌓아보는 것도 좋을 듯 싶네요.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