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로 배우는 조선 왕실의 신화 ㅣ 한빛비즈 교양툰 15
우용곡 지음, 전인혁 감수 / 한빛비즈 / 2022년 2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들이 역사를 정말 좋아해서 같이 읽어본만한 역사책을 찾고 있었는데요.
※ < 만화로 배우는 조선왕실의 신화> 초판 구매시 '부록: 신화 속 복식도감 ' 증정 해주는데요!!
우리나라 의복에 관해서 역사책이나 영화장면에서는 많이 보긴하지만
정장 이름이나 어떤 상황에 입어야하는지 등 구체적으로 알지를 못했는데요. 최근 중국이 우리나라 한복까지도 우기는거 보면서, 우리나라 문화와 역사를 빼앗기지 않으려면 공부 좀 해야겠구나 싶으면서도 한편으론 너무 무지함에 부끄러웠네요 .

그동안 단순히 '조상신' 개인의 조상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줄 알았는데, 이렇게 여러 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건 처음 알았어요.
즉 기본적으로 유교는 무신론이 아니였으며, 같은 유교를 받아들였어도 지리적 위치나 국제 외교관계에 따라서 모시는 신이 모두 달랐다고 한다.

종묘사직에 대해 그동안 통글자로 암기하듯이만 그런가보다 했는데요. 이 책을 통해서 사직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나라 종묘사직에 대해 자부심도 느꼈던 시간이였는데요.
유교 국가였던 조선도 그 영향을 받았기에 건국 초기 부터 사직단을 만들어 4명의 신을 모셨는데
국사 _ 국토의 신 / 후토 _ 토지의 신 / 국직_ 오곡의 신 /후직의 신_ 곡식의 신 이있어요. 다른나라의 사직단은 모두 파괴되거나 사라졌는데, 현재 동북아시아에서 사직의 전통을 이어오는 나라는 한국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고해요.

공신당은 역대 임금들이 재위하던 시절 가장 공력이 크다고 평가받은 신하들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인데요.
기준은 뚜렷하진 않았지만 당시 사회에서 공훈을 인정받은 이들로서 주로 왕을 보좌하거나 국가를 운영했거나 학문적으로 크게 뛰어난 인물들이예요.
공신당 건너편의 칠사당은 일곱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데요.
수명의 신 사명 , 출입의 신 사호, 부엌의신 사조 , 건물의 신 중류, 형벌의 신 공려, 관문의 신 국문, 도로의 신 국행
개인적으로 출입의 신이 웃기더라고요. 나라 안 여러 문의 출입을 담당하는 신이라고? 그런데 이런 일곱 신 '칠사'는 각 계절마다 돌아가며 제사를 지냈다고해요

풍백, 운사,뇌사,우사 들어보시면 고조선!인가 딱 떠오시는 분들도 계실거예요 환웅을 따라 온 바람의 신 ,구름의 신, 비의 신 인데요 이들은 사실 삼국사기에 기록될 정도로 오래전부터 숭배되어 온 신들이예요.
그리고 추가로 고려시대엔 '뇌사'로 번개의 신도 등장했는데요. 조선시대에는 풍백,운사, 뇌사,우사를 산천단에 모셨고 태종 대 이르러서 각지 흩어져 있던 신들을 한데 모아 제사를 지냈다고해요. 즉 성황신- 마을의 신, 산천신- 산과 강의신과 말이죠

읽어보면서 그리스로만신화는 아무래도 에피소드들이 있기 때문에 재미있는 것 같았고, 우리는 신이 진짜 많아도 너무 많아서 놀랐어요. 말의 신도 있어서 놀랐고 대한제국에도 북두칠성 칠성신 , 달과 태양, 각행성별 신까지 등등
만약 글로 읽었다면 지루하거나 어려웠을 것 같아요.
90년생의 추억과 개그감으로 그려진 만화들로 친근감도 느껴지면서 새롭게 배운 역사 신화 이야기 아이랑 같이 읽어볼만한 책이라 추천하고싶네요 ^ ^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후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