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과 IB 교육 철학을 적용한 초등 개념기반 탐구수업·서술형평가 설계와 실천 - 깊이있는 학생주도 수학탐구수업, 핵심아이디어 연계 핵심전이과제, 수학 서술형평가 체계적 접근, 다했니? AI 쫑알이 활용
진경오 지음 / 앤써북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후기 입니다



올해도 벌써 반정도 숨차게 달려온 것 같아요. 새로운 경험들로 찾아가는 학교컨설팅도 해보고, 근무하고 있는 곳은 AI수학을 활용한 아이들 수학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계신 선생님들을 만나면서 저도 올해 더 성장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었고요. 올해 수업계획 공모전에 도전해보고자 하는데 아직 경험이 많이 부족하다보니 !! 이 책을 읽게 되었어요.

2022년 개정교육과정은 '학생 주도성'과 ' 깊이있는 학습'을 중심으로 실제 삶과 밀접하게 연계된 교육, 교과 간 통합적 접근 , 학습과정에서의 성찰은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핵심 요소 이기 때문에 미래를 위해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성장할 수있도록 기여해야겠어요.




이 책을 빠르게 훑어 보다가 ' 다했니?' 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클라우드 플랫폼이더라고요. 디지털 학급경영 도구와 우리반 클라우드 였더라고요.



보통 수학 수업은 넓은공식활용과 계산 중점이잖아요. 아들 학교 수업만 보더라도 그런 경우가 많은데, 저자는 챗gpt를에 넓은 단위의 필요성을 질문하고, 그 답변을 자신의 언어로 재구조화를 하는 활동을 했어요. 한 학생은 유산상속과정에서 토지를 정확하게 나누기 위해 면적단위가 필요한 상황을 들어 설명했고, 또 다른 친구는 야구장, 아파트분양 등 실용적이면서 조사와 사고 기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

그리고 읽으면서 신선했던 부분은 예습활동 부분이예요. 예습은 주로 3가지 방식으로 진행했다고하는데요. 온라인 수업 동영상시청, 교과서 상세 읽고 정리하는 방법, 예습활동지 미리 배부하는 방법으로 했어요.

예습이라고했을때 공부잘하는 방법 중하나이긴하나 교육현장에서는 예습을 활용하는 걸 저는 본 적이 없었는데 이렇게 하는 것도 좋겠더라고요.

아는 만큼 보이고 들리는 만큼 아이들이 자기주도적학습의 긍정적인 부분처럼 보였어요.



아이들 끼리 평가 피드백하고, 선생님이 주는 피드백과 보상을 줄 수 있는 ai테크를 활용한 부분들도 도움을 얻을 수 있었고요.

수업안만 보면 재밌긴한데 너무 어렵지 않을까 오히려 공부 잘하는 학군지에서만 이런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 선생님의 개념기반탐구수업의 내용을 보면 정말 고민 많이 하시고 다양한 아이디어와 시도를 하셨다는것에 정말 존경을 표하고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