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급 200만원인데 1억 어떻게 모으지? - 숨은 돈은 찾고 새는 돈은 막고 있는 돈은 불리고
김형리 지음 / 프로젝트A / 2023년 3월
평점 :
중소기업이든 공무원을 시작이든간에 대부분 월급은 200만원 초중후라고 생각이 들어요. 저도 이번에 경력단절에서 재취업준비하면서 월급이 적은데요.
제목이 너무 찰떡같이 나와서 이 책을 읽어보게되었어요.
저도 몇 달 지나면 첫 월급을 받을 예정이기도 한데요. 알찬 돈 계획을 세우고 싶었어요.그러나
이책은 딱 월급200이 아니라 맞벌이나 , 부동산이 좀 보유하고 있는 분들의 이야기가 있다는 점
!! 약간 책 제목에 좀 불편한 감도 있다 고로 너무 기대해서 읽지 않아도 될 듯 싶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매월 10만원 씩 꾸준히 불입하여 10여년 후 주택 청약으로 아파트 분양을 시도해보고, 생활비를 점검해서 빠져나가는 돈을 점검해봐야 한다고해요.
다양한 취미생활 및 여행 등을 추구하는데, 다른 사람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의 현재 소득과 소비 그리고 자산현황을 고려하면서 재테크 방법을 찾아야 한다.
딩크족 부부 ! 각자 급여로 소비하고 남은 금액을 K뱅크 통장으로 이체해 모으고 있다고 한다. 필요한 생활비를 개별로 그때그때 지출하고 나머지를 한곳에 저축했다. 그리해서 K뱅크 1억 1000만원이라는 목돈을 1년 6개월동안 모았다고 한다.
소비패턴을 확인해보니 생할비가 310만원 지출되고 있었다. 품위 유지비 각종 경조사비 등 자녀교육비가 들어가지 않는 상황에서 예상보다 지출 규모가 큰 것이다. 남은 돈 모으는 것보다는 일단 공동생활비 통장을 만들어 지출을 통제하고 매월 고정 금액을 저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외 아파트 월세,전세문제에 대한 조언도 있었어요. ELS 전부 투자보다는 기초 자산을 달리하여 2-3개로 상품에 분산투자하라고도 하네요.
아이 키우다보면 특히 교육비나 생활비가 만만치 않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은퇴생활비까지 자금도 모아야하니 빠뜻하기만하다. 아이 교육비로는 대학교까지 2억원 정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적립식펀드와 저축성 보험을 각각 매월씩 불입하도록 한다. 대학교육비는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여유 기간이 있는 만큼, 단기 정기 적금보다는 장기 펀드 상품으로 가입하는 것이 좋다. 적립식 펀드는 5년만기, 저축성 보험은 5년 납입, 10년 만기 비과세 상품을 추천한다.
실비보험이야기도 언급하는데 진짜 젊어서 돈 많이 벌어야겠다 싶었다. 이 책에서는 딱 200만원 가지고 이야기나오진 않지만 분산,장기적인 안목을 기르는데 도움이 된다.
이 책에서는 펀드에 대해서 많이 언급이 되어있는데, 역시 돈을 벌려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펀드나 보험으로 장기적인 부분이 많이 필요하구나 라는 것을 느꼈다.


*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후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