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과적 사고력을 기르자! ㅣ 비주얼 과학 4
김정환 옮김, 고모리 에이지 감수 / 상상의집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예전에 ' 문송합니다' 라는 말이 잠깐 등장했던. 문과라서 죄송합니다 말이 있었죠. 이과계열이 아무래도 취업하기가 조금 더 유리하죠.
앞으로도 4차산업혁명에는 융합형인재를 원하긴하지만 어찌되었든 이과적인 사고력이 갖춰져야되긴 하죠.
이과적 사고력은 어떻게 길러야할지 궁금하더라고요. 같은 물건을 바라봐도 어떤 관점과 어떤 배경지식으로 활용할지 말이죠.
아들을 보면 수과학쪽에는 좀 관심 있어하는 것 같기도하고 이과적 사고력을 더 키워주고싶어서 이 책을 선물해줬어요.
과학은 외울게 많아서 싫어! 라고 생각하고 있지 않나요?
오로지 시험을 잘 보려는 목적으로 실험 결과나 교과서에 적혀 있는 내용을 외우려고 하면 과학이 싫어질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시험이 끝나면 외웠던 내용을 전부 잊어버리고 말지요.
하지만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 잘하는 사람은 '과학은 외울게 많아.'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어? 왜 이렇게 되는 걸까?'라는 궁금증을 품고 가슴을 두근 거리며 열심히 생각합니다.
어떻게 해야 궁금증을 풀 수 있을 지 스스로 생각하면서 관찰이나 실험을 하지요.
외우는 것을 목적으로 삼지 않지만, 그래도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기억이 됩니다.
노벨상을 받은 일본의 과학자 도모나 신이치 박사는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신기하다고 생각하는 것,
이것이 과학의 싹 입니다.
유심히 관찰해 확인하고
그리고 생각 하는것,
이것이 과학의 줄기 입니다.
그렇게 해서 마지막에 수수께끼가 풀립니다.
이것이 과학의 꽃입니다.
>> 과학에 대한 흥미 동기부여도되고, 노벨상 받은 과학자의 말에 여운이 남더라고요.
이과적 사고력!! 가즈아!!
남녀 두 아이가 문제의 답을 생각하는데, 같이 스스로 생각해보며 읽어보고, 또 붉은색으로도 강조된 글은 기억해두자고 하네요.
문제를 발견 , 주변의 생물 , 주변의 물질, 전기와 힘, 달과 지구, 기구를 바르게 쓰자
마지막에는 '생각해보자'라고 코너가 있는데요.
앞서 배웠던 과학지식을 바탕으로 질문을 통해 이과적사고력 길러보아요!
" 공기에 대한 궁금즘"
공기가 살기 위해서 공기가 꼭 필요합니다. 물고기가 물속에서 생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은 공기 속에서 생활하지요.
'똑딱똑딱'하고 초침이 움직이는 소리가 나는 시계가 있습니다.
이 시계를 밀폐된 용기에 넣고 그 안의 공기를 빼면 초침이 움직이는 소리가 들릴까요?
두 아이가 서로 의견을 내면 선생님이 밑에 설명해주시더라고요
읽어보면서 궁금함에 생각해보고 과학지식을 읽어보니 이해가 더 잘 되면서 과학지식이 자연스레 쌓여지는 것 같아요.
< 생각해보자> 편은 표나 그림,그래프가 많은데 하나 하나 따져보며 읽는데 오려 걸렸네요.
이정도면 독서력 높은 아이라면 좀 볼 것 같아요. 역시 이과는 어려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