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롤스 정의론 - 공정한 세상을 만드는 원칙 리더스 클래식
황경식 지음 / 쌤앤파커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어려운 책 읽냐고 정말 힘들었다. 내 머리가 너무 딱딱하게 굳은 기분 !  

대학교 다닐때 전공과목으로
배우긴 했지만, 몇 년이 흘러간 지금 다시 꺼내 읽으려니

 포맷되어진 내 머리 속에는 또 새로움으로 배우는 마음으로 읽었다.

이름만 들어도 사실 머리가 지끈거릴 것 같은 '정의론 & 국부론' 인데,

책 크기도 아담하고 표지도 너무나 예쁘다.
페이지수도 그렇게 많지도 않아서, 부담스럽지도 않기도 하다.

쌤앤파커스 출판사에서는 '리더스 클래식' (Leader;s Classics) 시리즈

 계속 출간할 예정이라고 한다.
국부론 / 정의론 /통치론/ 정치학/ 군주론 등 국내 석학들의 참여로 '고전의 문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읽어보고 싶은데 두껍고 어려운 이야기들을 쉽게 풀어서,  알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

 

 

 

정의론 & 국부론은 정말 오래된 고전책인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꼭 읽어봐야하는 고전책! 불멸의 책!

 

 

 

'공정한 세상을 만드는 원칙'

 우리나라와 같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이자 다원주의를 따르는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과도하게 규제하는 도덕체계를 내세우기보다는 개개인의 가치관을 자유롭게 추구하며서도 타인의 기본적인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는 공정하고 정의로운 공동체를 세우는 일이 핵심과제가 된다. 즉 , 롤스가 <정의론>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최소 수혜자'를 우선 배려한다는 전제 아래 정의의 구체적인 내용은 시민간의 자유로운 논의를 통한 중첩적 합의 결과로서 도출되어야한다.
지금 우리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갈등으로 고통 받으며 살고 있다. 서로 니편내편으로 계층이나 세대 갈등으로 상대방을 평가하며 도를 넘어가기까지도 하는데, 그야말로 정의는 우리 시대가 고심해야할 화두이자 시대정신이라 할 만하다.

 

 

 

 

 

 

▲ 세월호 사고를 추모하는 노란 리본 사진
저자는 '우리 모두가 세월호 선장과 똑같은 도덕적 실패를 매일 같이 되풀이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우리 사회에서도 [갑질문화] 리더들의 도덕성 결여되어 이슈된 일들이 참 많다. 특히 재벌문화와 보이는 스펙에 남을 평가하고, 재판에 대한 결과들을 뉴스로보며 과연 이 땅에 평등과 정의가 과연 있는가에 대해 우리는 불만을 얘기한다.

 

 

 

예전에 '수저론' 관련된 단어가 뉴스기사에 많이 실리기도했다. 흙수저 vs 금수저
인생이 출발선 부터 금수저들은 앞에 가있고, 흙수저는 아무리 따라가려고해도 그 격차는 줄어들지가 않는다.


즉 출생의 불평등으로 죽는 날까지도 개선될 가망 없이 쳇바큇처럼 살아야된다는 숙명론적 실망감이 크기 때문이다.

'원천적불평등'으로 사회는 불평등이 제도나 정책을 통해 시정되거나 개선될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회의 구조적 부조리와 경직성에서 체감되는 실망감 절망스러움이 비롯한다. 여기서 롤스는 '운의 중립화'를 선행되어야 한다고 하며, 이는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각자 타고난 사회적 운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
인간다운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신체적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보장받을 정도로 의료혜택을 받아야한다는 것이다.

 

 

 

 

최소 수혜자 배려와 정의로운 사회

:  정의의 원칙은 분배적 정의의 원칙이다. 롤스는 그들이 나누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 기본가치'이며 당사자가 비록 다양한 인생관가 가치관을 가지고 서로 다른 인새을 꿈꾼다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가치들을 경체적 가치뿐만아니라 인간다운 삶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가치라 할 수 있다. 사회적 기본가치로서 자유, 권리, 기회, 소득, 부권력등 목록을 제시하고 이것들을 인간으로서 자존시믈 지키기 위해 필요하며 다양한 인생목표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수단적 가치들이라 설명한다.

 

 

 

 

롤스의 정의론은 초심자들에게 다소 난해한 편이기에 저자는 4장에서부터 보충 논의와 해명을 통해서 이해를 돕고자 구성되어있다.
정의론을 보며 도덕적 윤리적인 연습도 중요하다라고 마지막장에는 인간적인 이야기가 나와있다
외부로부터 오는 유혹을 물리칠 수 있는 용기도 , 내부로부터 솟아나오는 욕심과 탐욕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훈련도 요구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