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에서의 오해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최정수 옮김 / 부키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오해는 쉽게 발생하고 어렵게 풀린다. 모름지기 오해란 그렇다. 화해를 할 타이밍을 놓치거나 상대가 먼저 손을 내밀어 주기를 바라니까. 가까운 사이일수록, 사랑하는 사이일수록 오해는 눈덩이처럼 커지기도 한다. 모름지기 오해란 그런 것이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모스크바에서의 오해』는 제목 그대로 모스크바에서의 오해에 대한 이야기다. 잘 알려진 대로 보부아르와 샤르트르가 1962~1966년 모스크바를 방문면서 벌어진 자전적 소설이다. 그래서 실감나게 다가온다. 둘 사이의 대화를 통해 둘 사이를 흐르는 긴장감, 그리고 서로를 이해하려 애쓰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소설은 앙드레와 니콜 부부가 딸이 있는 모스크바를 방문하면서 시작한다. 흥미로운 건 앙드레와 니콜은 재혼 부부로 각각 자녀가 있다. 그러니까 니콜에게 앙드레의 딸 마샤는 가깝고도 먼 존재다. 3년 만에 찾은 모스크바에서 앙드레는 예전과 다른 소련의 모습에 실망을 한다. 기대했던 게 아니었다. 그건 니콜도 마찬가지다. 늙은 자신과 다르게 젊은 마샤를 보며 부럽고도 허무한 감정을 느낀다. 거기다 앙드레와 마샤 부녀의 사이에서 살짝 소외된 기분까지 든다. 그러다 앙드레와 니콜 사이에 오해가 생긴다.

 

 그들은 계속 함께 살 것이고, 그녀는 자신이 느끼는 불만을 감출 것이다. 많은 부부가 그렇게 포기하고 타협하면서 근근이 살아간다. 고독 속에서, 나는 혼자다. 앙드레 곁에서 나는 혼자다. 그리고 그것을 납득한다. (104~105쪽)

 

 시작했기 때문에 계속되는 부부관계. 이것이 그들을 기다리는 미래였을까? 우정으로, 애정으로, 하지만 함께 살 진정한 이유는 없이. 그런 것일까?  (125쪽)

 

 앙드레는 변화된 소련에 실망을 했지만 다양한 곳을 방문하면서 즐기고 싶지만 니콜은 지루하고 피곤함을 감출 수 없다. 그런데다 앙드레가 니콜에게는 의견을 구하지도 않고 일정을 늘린 것이다. 니콜은 그런 부분이 서운하다고 말하지만 앙드레는 분명 니콜의 동의했다고 말한다. 누군가의 기억이 잘못되었다. 사소한 오해와 실수로 우리는 때로 큰 것들을 잃어버리고 만다. 그러나 현명한 앙드레와 니콜은 대화를 통해 그것을 풀어간다.

 

 60대 부부에게 사랑은 무엇일까. 어쩌면 그것은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서로가 서로를 깊게 사랑한 마음, 자존심을 버리고 상대에게 진심으로 대하는 마음 말이다. 어떤 이는 사랑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 많다고 말한다. 어떤 이는 사랑을 보여주지 않아도 다 알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물론 맞는 말일 수 있다. 그러나 사랑은, 사랑한다고 말하지 많으면 알 수 없는 것이다. 마음도 마찬가지다. 앙드레와 니콜의 대화는 아름답다.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으로 생각하고 말한다. 그리고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을 보여준다. 그들의 대화는 소박하다. 어려운 말을 쓰지 않고 중요한 것에 대해 언급한다.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건 큰 행운이야. 그녀가 생각했다. 대화가 되지 않는 부부 사이에는 오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모든 것을 망쳐버린다.

  “우리 관계가 망가졌을까 봐 조금 두려웠어.

  “나도 그랬어.

 “하지만 그럴 수는 없는 일이야.” 그가 말했다. “우린 반드시 이야기를 나눠야 했어.” (137쪽) 


 보부아르와 샤르트르가 특별한 그들만의 사랑을 지속할 수 있었던 건 상대에 대한 인정과 함께 한 시간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 때문은 아닐까. 졸혼이 새로운 유행이 된 요즘, 오해를 푸는 노부부의 모습은 결혼의 의미에 대해 묻는다. 함께 살아간다는 게 무엇인지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