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페미니즘 책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험만을 이야기하지 않고 우리 모두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ㅡ 남자들, 여자들, 아이들, 그리고 젠더의 이분번과 한계에 도전하는 모든 사람들의 경험을.’ (「들어가며」, 8쪽)

 

 좋은 책에 대해 말하는 건 어렵다. 알찬 책에 대해 설명하는 일은 어렵다. 그러니 당신이 직접 읽어야만 한다. 당신이 읽었으면 좋겠다. 바로 리베카 솔닛의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에 대한 이야기다. 나는 리베카 솔닛의 다른 책을 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읽지 않았고 이 책을 통해 그녀의 글을 처음 읽었다. 그녀는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간결하게 말하고 있었다.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는 날카로운 힘을 지닌 문장에 반했다.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는 1부 「침묵이 깨어지다」와 2부 「이야기를 깨드리다」로 나누어 페미니즘의 역사와 함께 토론하고 연대하는 생생한 기록이다.  그 시작은 제목처럼 여성들이 받는 질문에 대한 것으로 시작한다. 그러니까 “왜 아이를 낳지 않느냐?”란 질문 말이다. 이 책을 읽기 전 그런 질문을 받았다면 나는 어떻게 대답했을까. “왜 그런 걸 묻죠?”라고 반문할 수 있었을까.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왜 이런 질문을 여자와 남자가 아닌 여자에게만 하는지 생각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아이를 갖는 건 여자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닌데. 그랬다. 우리는 그동안 여자라서, 여자니까, 여자라는 이유로 그런 질문을 받았고 수동적인 태로도 살아왔고 학습되었다.

 

 리베카 솔닛은 내가 그동안 깊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들, 뉴스를 통해서만 접했던 사건들, ​온라인에서 뜨겁게 토론하는 주제들, 잘 몰라서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알아가야 하는지 몰랐던 것들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그것들이 말하여지기까지의 과정, 누군가의 희생, 협력에 대해 들려준다. 그것은 단순히 여성혐오, 여성폭력, 페미니즘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삶에 관한 것이다. 누군가는 이 책이 젠더와 페미니즘에 대한 이야기라 하겠지만 함께 세상을 살아가는 모습에 대한 글이다. 참고 견디는 게 아니라 표현하고 진실을 알리고 그 목소리를 듣고 올바르게 반응해야 한다는 것. 여성의 역사에서 더이상 침묵은 존재하면 안 된다. 그것이 무엇이든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그런 이야기다.

 

 인간다움에서 목소리가 중요한 특징이라면, 목소리 없는 자가 되는 것은 인간다움을 상실하거나 자신의 인간다움으로부터 차단되는 것이다. 침묵의 역사는 여성의 역사에서 핵심적인 문제다. 언어는 우리를 잇지만 침묵은 우리를 나누어, 말이 호소하거나 끌어낼 수 있는 도움, 연대, 그도 아니면 단순한 교감조차 잃은 처지로 내몬다. 어떤 나무 종들은 땅속에서 뿌리를 넓게 뻗음으로써 낱낱의 그루터기들을 하나로 잇고 개개의 나무들을 좀 더 안정된 덩어리로 엮어 바람에 쉬이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야기와 대화는 그 뿌리와 같다.’ (「침묵의 짧은 역사」, 35~36쪽)

 

 여성혐오와 여성폭력은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용인할 수 없다는 사실, 세계 곳곳에서 벌어진 잔인한 폭력 사태, 여전히 존재하는 가부장제도의 잘못, 여성을 지배하고 농락하는 문학작품까지, 리베카 솔닛은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는다. ​그러한 사건 속에서 얼마나 많은 여성이 피해를 입고 심지어 죽음을 당하는지 낱낱이 말한다. 부부 사이에 벌어진 문제, 연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건이 생존의 문제라는 걸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처음부터 끝까지 강렬하고 매력적인 책이었지만 언급하고 싶은 부분은 2부「남자들은 자꾸 내게 『롤리타』를 가르치려 든다」과 영화 「자이언트」에 대한 이야기인「거대한 여인」이다. 리베카 솔닛은 잡지『에스콰이어』에서 ‘남자가 읽어야 할 최고의 책 80권’이란 제목의 글을 언급하면서 많은 남성작가의 소설에서 여성을 어떻게 다루고 어떻게 그려내는지 그 소설을 읽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문학과 예술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서도 말한다.

 

 독서가 감정이입을 북돋는다는 주장이 요즘 인기인데, 만약 정말로 그렇다면 그것은 독서가 우리로 하여금 다른 사람이 된 느낌을 상상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혹은 자기자신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가도록, 그래서 마음이 아픈 상태, 몸이 아픈 상태, 여섯살인 상태, 아흔여섯살인 상태, 인생에서 길을 잃은 상태가 어떤 것인지를 좀더 잘 깨닫도록 돕기 때문이다. 자신이 늘 멋지게 그려지고 항상 정당화되고 언제나 옳은 상황에서만, 타인은 그저 자신의 근사함을 뒷받침하는 역할로 존재하는 세상에서만 갈아가는 게 아니라 말이다.’ (「남자들은 자꾸 내게 『롤리타』를 가르치려 든다」​, 242~243쪽)

​「거대한 여인」은 「침묵의 짧은 역사」와 함께 책에서 가장 멋지고 아름다운 글이다. 페미니즘, 변화, 화합, 연대, 그로 인한 자유와 행복에 대한 메시지라고 할까.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직접 읽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 침묵을 거부하고 목소리를 내야만 나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듯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1-05 0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07 15:2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