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복이었던 어제는 삼계탕을 끓였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고모가 끓여서 보내준 냉동 삼계탕을 데워 먹었다. 삼계탕을 먹는 내내 땀을 흘렸다. 여름이, 여름이, 이렇게 나를 지배한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인공적인 바람을 피하게 된다. 나이가 드는 거라고, 늙는 거라고 친구와 지인에게 말했다. 타국에 계신 선생님의 문자도 받았다. 초복이라서 닭에 대한 유머를 보내셨다. 선생님이 계신 곳은 이곳보다 더 습하고 더운 날이 많다. 이 더위를 건강하게 보내자고 선생님과 다짐 비슷한 인사를 나눴다. 병원에 다녀온 일은 정기적으로 의사를 만나는 일로 결론이 났다. 정상과 비정상 사이를 오간 날들이 지나간 것이다. 그 시간들 속에서 나는 정상은 무엇이며 비정상은 무엇일까, 생각했다. 그리고 아는 게 병이라는 말과 모르는 게 약이라는 말 중 어느 쪽이 더 나을까, 저울질하기도 했다. 역시나 이런 일도 늙는 과정이구나 혼자 결론을 내었다. 늙는다는 말이 슬프다고 서럽다고 누군가 말했지만 나는 점점 그 말에 친근함을 느낀다. 젊어질 수는 없으니까.

 

 매일 조금씩 성경을 읽고 기도를 하는데, 오랜만에 통화한 분과는 그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 사실은 이 포스팅은 그 말씀 때문이다. 기쁘고 감사하게 살고 있다는 말씀이다. 감사하다는 말은 습관처럼(때로 진정성이 없을 때도 있다는 말이다) 하는데 기쁘다는 게 단짝처럼 붙으니 전혀 다른 메시지로 전해졌다. 그러니까 하나가 아닌 두 개의 좋은 것들에 대해 생각한 적이 없다고 할까. 그냥 묘하게 그 말이 계속 생각난다. 기쁘고 감사하게, 즐겁고 감사하게, 건강하고 감사하게!

 

 책을 좋아하는 동생과 통화를 하면서는 이런저런 책 이야기를 하게 된다. 엊그제는 리커버 한정판 시집에 대해 말했다. 구매를 하느냐, 마느냐 그런 이야기다. 소장하고 있는데 예쁘니까 사야 하는 거 아니냐고. 그 시집은 이렇다. 박 준의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이은규의 『다정한 호칭, 장석남의 『고요는 도망하지 말아라이미 곁에 둔 시집인데 한정판이라는 이유만으로 사야 할까? ㅎ

 동생이 추천해 준 책과 관심 있는 책을 검색하다 보니, 같은 출판사라 괜히 신기했다. 『마음을 흔드는 글쓰기』,『라틴어 수업』과 함께 리스트를 작성하는 책은 시집이라는 이유로, 문학과 지성 시인선 500선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 그나저나 신철규 시집은 언제 나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