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 나만의 질문을 찾는 책 읽기의 혁명
김대식 지음 / 민음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펴면 세상이 보이지 않는다. 눈을 글을 읽지만, 뇌는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낸다. 읽는 자에게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책. (74쪽)

 

 책을 좋아하는 이들에게 사람들은 묻는다. 당신에게 인생의 책이 무엇이냐고. 인생은 멈춤이 아니니 인생의 책은 하나의 책이 아니라 여러 권이 될 수 있도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니 인생의 책은 아직 도착하지 않은 책이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누군가의 인생의 책을 원한다. 심지어 그 책이 내게도 그러한 책으로 다가와야 하는 게 아닐까 걱정한다.  책이란 이처럼 모호한 존재다. 읽지 않고서는 절대 알 수 없는 세계가 그곳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매력적인 존재이기도 하다. 누군가의 인생의 책이 아니더라도 내가 읽지 않은 책은 언제나 궁금하니까. 먼저 읽은 이의 글을 통해 책을 만나는 이유도 그렇다. 그러나 분명한 건 특정한 한 권의 책이 모두에게 좋은 책이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개인의 취향이 아니더라도 말이다. 책이라는 저마다의 세계가 하나로 연결될 수 없으니까.

 

 김대식의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는 질문의 필요, 혹은 질문을 통해 확장되는 사고, 나아가 삶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다고 말한다.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답이 아닌 하나의 질문에 수천, 수만 개의 답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것은 다시 질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1부 삶의 가치를 고민하라. 2부 더 깊은 근원으로 돌아가라. 3부 더 깊은 차원으로 들어가라. 4부 과거에서 미래를 구하라. 5부 답이 아니라 진실을 찾아라. 6부 더 큰 질문을 던져라,로 나눠 32가지 질문을 던지고 그에 맞는 책을 소개한다. 익숙하지만 작품으로 만나지 못한 작가도 많다. 랭보, 이탈로 칼비노, 보르헤스, 움베르토 에코, 카프카, 베케트, 제임스 조이스 등이다.

 

 책에서 던지는 32가지 질문은 오늘만 사는 것처럼 살아가는 우리를 멈칫하게 만든다. <‘함께 홀로’의 길을 고민하라>, <누구를 존경해야 하는가>, <역사는 과연 누구의 것인가>, <나의 진짜 모습은 무엇인가> 등 질문을 듣고 지난 삶과 지금의 나를 돌아본다. 우리는 우리가 정확하게 안다고 믿는 것들, 확신하는 것들에 왜? 란 질문을 한 적이 있던가. 그러니까 이미 답이 정해진 것들에 대해 한 번도 다시 생각해본 적이 없다. 그것들이 최초의 질문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잊는다. 학습으로 얻은 것들은 의심 없이 그대로 받아들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니 간단한 덧셈으로 인식하는 1+1=2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와 러셀의 대작 『수학 원리』는 360여 쪽에 가서야 그 사실을 증명했다고 한다. 물론 이러한 증명 과정을 반드시 다 알아야 하고 읽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끊임없는 질문과 반복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거대한 우주의 비밀이 밝혀지고 인간의 정체성과 본질에 대해 다가가는 것, 그것이 질문의 궁극적인 답은 아닐까.

 

 내가 읽은 책에 대한 다른 시선은 언제나 신선한 감동을 안겨준다. 뇌과학자가 읽은 문학을 통한 질문과 사유. 아침에 일어나니 벌레로 변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인 카프카의 『변신』에서는 다르다는 이유로 자행되는 차별과 폭력을 고발한다. 과거의 문학이 현재의 모습을 고스란히 비추는 거울이 되었다. 벌레가 된 남자에게는 더 이상 인간의 존엄성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가까운 미래 인간의 자리를 대신할 인공지능을 우리는 어떻게 대해야 할까. 아니, 인간과 기계는 대등한 관계가 될 수 있을까. 점점 더 신의 영역에 다가가는 인간의 삶은 옳은 것일까.

 

 우리 모두의 영원한 변신. 그리고 언제라도 우리와는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학살과 폭행과 차별을 저지르는 또 하나의 우리 모습을, 카프카의 변신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82쪽)

 

 삶의 가치에 대한 질문과 관계없이 김대식이 사랑한 책의 유혹은 강렬했다. 전혀 궁금하지 않았던 작가와 책이 읽고 싶어진 것이다. 아, 이처럼 책이란 위험한 존재다. 정말 흥미롭고 새로운 이야기로 오랜만에 세상을 잊고 글에 빠져들어갈 수 있는 기회라 말하는 이탈로 칼비노의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 본질적으로 번역이 불가능한 책이라는 제임스 조이스의 『피네간의 경야』, 400년 후의 미래를 걱정하는 방대한 스케일의 인류를 그린 류츠신의 『삼체』. 과연 언제 내가 이 책들의 세계에 빠져들 수 있을까.

 

 정해진 답을 원하는 질문은 식상하다. 하나의 정답이 아니라 다양한 해답이 필요하다. 그런데도 우리는 질문을 두려워한다. 그것이 과거에 대한 것이든 미래에 관한 것이든, 지식에 관한 것이든 가치관에 대한 것이든 말이다. 뇌과학자 김대식이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에서 소개하는 책이 누구에게나 좋은 책이 될 수 있을까? 저자의 방식대로 질문(너무도 포괄적인 질문)을 던지고 책에서 답을 찾는다면 완벽한 독서가 될 것이다. 물론 나는 그 답을 찾지 못했다. 그러니 여전히 책을 읽어야 할 이유가 남는다. 질문이 질문을 만드는 책, 점점 질문은 많아지고 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