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에 관하여 - 나를 살아가게 하는 가치들
임경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태도attitude’란 ‘어떻게how’라는 살아가는 방식과 가치관의 문제로, 그 사람을 가장 그 사람답게 만드는 고유자산이다.’ (7쪽, 서문 중에서)

 

 신념을 지키며 사는 일은 어렵다. 산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버거워 어떤 의미를 찾거나 돌아볼 여력이 없는 것이다. 소신대로 밀고 나가고 싶지만 그것을 막는 장애물이 어디서 튀어나올지 모르는 게 삶이다. 그럼에도 소신 있는 사람은 무너지지 않는다. 장애물을 뛰어넘고 더욱 단단해진다. 임경선의 『태도에 관하여』를 읽고 태도란 말 대신 ‘신념’, ‘소신’을 넣는다. 살다 보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를 때가 있다. 혼자가 아닌 함께 사는 세상이라 더욱 그렇다. 

 

 가족을 시작으로 친구와 연인, 직장 동료로 이어지는 관계 속에서 나를 지킬 수 있는 건 오직 나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임경선의 이런 말은 진짜 나를 찾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준다. 특히 직장인이라면 격하게 공감할 것이다. 그러면서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위치를 견디는 일상, 그 안에서 내가 얼마나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최선을 다하는지 묻게 된다.

 

 ‘어떤 일을 하더라도 일의 본질은 같다. 최선을 다해야 하고, 사람들과 조율할 줄 알아야 하고, 규칙을 따라야 하며 스스로를 통제할 줄 알아야 한다. 내가 그토록 벗어나고 싶었던 조직 생활도 나의 지울 수 없는 과거이자 지금의 내가 만들어진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곳임을 인정한다. 변화 이전의 모습이 ‘악’이고 변화 이후의 모습이 반드시 ‘선’은 아니다.’ (155쪽)

 

 결국엔 모든 문제의 답은 나에게 있다. 사회구조적 문제를 배제할 수 없지만 어차피 내 인생은 내가 주인공이니까. 타인에 대해서도 다르지 않다. 모든 사람에게 좋은 사람이 될 필요도 없고 나를 버리면서 무조건 타인을 이해할 필요도 없다. 타인의 범주엔 가족도 포함된다.

 

 자존감이 소중한 것은, 나의 불완전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더 나은 사람이 되려고 애쓸 때 우리는 타인을 있는 그 모습 그대로 사랑하고 상대의 결핍이나 불완전함을 이해할 포용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완벽주의에 묶여 자신에게 가혹한 사람이나, 자신의 껍데기 안에서 한 걸음도 밖으로 나가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은 타인에 대해서도 역시 가혹하거나 깎아내리려 할 뿐이다.’ (193~194쪽)

 

 임경선은 후배나 동생의 고민 상담을 하는 언니처럼 자발성, 관대함, 정직함, 성실함, 공정함이라는 다섯 가지의 태도에 관해 친절하게 조언한다. 오랜 시간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이어가는 친구처럼 편안한다. 거기다 연애, 결혼, 육아, 관계 모든 분야에 이상하리만치 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그녀의 글에 주먹을 불끈 쥐게 된다. 그녀의 이야기가 완벽한 정답은 아니지만 책을 덮고 나서 후련한 기분이 드는 건 나뿐은 아닐 것이다. 남은 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니까. 나를 나답게 만드는 나만의 태도에 대해서 말이다.

 

 나 스스로를 지키는 일은 어렵도고 어렵다. 단단하다, 견디다란 단어를 나에게 건넸다. 뭔가 대단한 게 되려는 게 아닌데도 하루하루가 힘겨울 때도 있다. 최근에 『자유로울 것』을 읽으면서 다시 꺼내보는 구절이다. 그러면서 또 질문한다. 나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 관계에 대해 유연한가, 내가 지향하는 삶을 위해 제대로 걸어가고 있는가. 여전히 물음표만 이어지는 시간들이다. 어느 드라마의 대사처럼 느낌표를 찍을 순간이 오긴 올까.

 

 ‘자기 내면이 단단해지려면 디테일에서도 강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어떤 문제를 다 좋고 나쁘다고 판단할 게 아니라, 그 문제를 자잘하게 썰어서 하나하나 곱씹어볼 수 있는 어떤 치밀함, 집요함 그리고 신중함이 필요할 것 같아요.’ (2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