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통 - 제5회 문학동네 대학소설상 수상작
이희주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건 축복이다. 그것이 크나큰 고통을 동반하더라도 말이다. 때로 사랑은 일상을 굴복시킨다. 사랑하는 그 대상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 사람을 무작정 좋아하고 사랑할 수 있는 일은 가능한 것일까. 이것은 부질없는 질문인지도 모른다. 형태와 행위가 다를 뿐 맹목적인 사랑, 내 전부를 줄 수 있는 사랑을 경험한 적이 있으니까. 때문에 아이돌 그룹의 멤버를 사랑하는 팬의 이야기라 할 수 있는 이희주의 『환상통』을 가볍게 볼 수 없다. 그들에게 사랑은 숭고하고 위대한 일이다. 청소년 시절의 통과의례처럼 지독한 열병으로 기록되더라도 말이다. 섣불리 이해할 수 없지만 함부로 말할 수도 없다.

 

 ‘사람들은 소중한 것일수록 기록을 통해 남기려고 하죠. 그러나 어떤 기록도 순간의 모방일 수밖에 없다면 도대체 사랑은 어떤 방식으로 남겨져야 합니까?’ (23~24쪽)

 

 소설의 주인공은 십 대의 소녀팬이 아니다. 아이돌 멤버를 좋아하는 이십 대의 m과 만옥, 그리고 만옥을 짝사랑한 한 남자가 서로의 시선에 비친 그들의 사랑을 들려준다. 같은 멤버 민규를 좋아한다는 것과 이십 대란 공통분모로 m과 만옥은 금세 친해진다. 아이돌의 스케줄을 공유하며 함께 공개방송을 기다린다. 기약 없는 시간을 길 위에서 보내서 잠깐 팬들에게 모습을 보이는 아이돌의 일거수일투족이 그들에게는 삶의 전부가 된다. 일상의 축은 아이돌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아이돌 멤버와 팬의 로맨스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한 대상을 향한 무한대의 사랑이지만 그것이 너무도 절망스럽다는 것, 전부를 소유하길 간절히 원하지만 모두와 나눠야 한다는 고통까지 감수하며 사랑한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하게 만드는 묘한 소설이다. 그래서 m과 만옥과 한 남자가 차례로 들려주는 사랑은 처절하면서도 철학적이다.

 

 ‘나는 기다림이 좋았다. 사랑한다는 것은 곧 기다림이었으므로 그것은 언제나 달콤했다. 아니, 그렇게 말하는 것은 거짓이다. 나는 그들을 알게 된 이후 매 순간이 기다림이었던 것을 기억한다. 문장을 쓰며 그 순간을 간신히 버티던 것을 기억한다. 그렇다면 나는 고통 때문에 사랑하는 것을 포기했던 걸까?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도 없었다. 나는 고통이 좋았고, 어떤 면에서는 그것을 자발적으로 원한 사람이었다. 불확실한 고통이 아무것도 아닌 시간보다 낫다는 걸 나는 알고 있었다.’ (70쪽)

 

 사랑하는 이가 무엇을 하는지 궁금한 건 당연하다. 무엇을 먹고 어떤 걸 먹고 무슨 생각을 하고 누구와 친한지, 알고 싶고 기억하고 싶은 것이다. m과 만옥이 아이돌 멤버 민규를 향한 마음도 그러하다. 세상은 그들을 ‘빠순이’라 부르며 정신 나간 집단으로 치부한다. 공개방송과 콘서트에 가기 위해 제대로 된 직장을 가질 수도 없고 친구나 부모에게 싫은 소리를 듣는 건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민규가 존재하기에 m과 만옥도 존재하는 것이다.

 

 소설에서 그려진 아이돌과 팬의 모습은 작가의 경험에서 나온 것이라 매우 사실적이다. 현장을 생생하게 스케치 한 느낌이랄까. 스타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팬의 하루, 어느 위치에 서야 좋아하는 멤버를 잘 볼 수 있는지, 팬미팅 당첨을 위해 몇 장의 앨범을 구매해야 하는지도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그러니까 그들은 단순한 팬이 아닌 것이다. 민규를 향한 사랑은 신을 향한 그것과 같다. 그를 위해서라면 지옥이라도 갈 수 있는 사랑이다.

 

 ‘네가 유리 안에 있는 사람이라면, 혀끝에 맴도는 이름이라면 나는 그것만으로도 족했다. 내겐 아직 쓸 만한 눈과 너를 담을 마음의 공간이 있었다. 네 앞에서 꿇을 무릎, 녹아 사라지기를 바라는 다리가 있었다. 네 앞에서 몇 번이고 터질 심장과 그걸 꿰맬 손이 있었다. 무엇보다 내가 아직 기다리길 원했다. 네가 너를 기다렸으니까.’ (128쪽)

 

 이 무섭고도 모진 사랑을 이해하기에 나의 이성과 감성은 부족하다. m이 다른 민규를 사랑하게 된 이유와 만옥이 갑자기 죽은 이유를 찾을 수 없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만옥의 죽음 후 m과 만나 그녀가 사랑한 민규에 대해 알아가는 것으로 여전히 만옥을 사랑하는 남자의 마음은 조금 알 것 같다. m을 통해 만옥을 듣고 만옥을 만나는 것이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일, 그 의미에 대해 생각이 많아진다. 사랑하는 것은 축복이라 생각하지만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는 것보다 행복한 것일까, 여전히 어렵다.

 

 ‘기록은 다른 사람과 나눴을 때 더 의미가 있으니까요. 그것을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떠나서.’ (14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