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바람이 있었고 오늘은 약간의 바람도 존재하지 않는다. 일관성 있게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다. 변함없이 매미소리는 우렁차다. 내일이 없다는 걸 다 안다는 소리인가. 오늘만이 존재하는 것처럼 살아야 한다는데. 변화, 변신, 변장이란 단어를 생각한다. 순간마다 변화하는 모든 것들. 바람의 크기, 햇볕의 세기, 숨소리, 그리고 내 마음. 마음의 변화는 얼마나 충동적인가, 얼마나 간사한가. 냉장고 속 복숭아와 자두는 어제는 그것이 아니다. 복숭아는 미세하게 숙성된 맛을 보여준다. 뜨거웠던 김치찌개는 냉장고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잃었다. 폭염이 이어지는 날들, 밤마다 뒤척인다. 올림픽에 열중하지 못하면서도 경기에서 눈을 뗄 수가 없다. 잠들지 못하기에. 바로 잠드는 날은 언제 올 것인가.
8월 11일이라는 날짜에 화들짝 놀라고 만다. 오늘은 누군가의 생일이고 작은 언니가 말라위에서 돌아오기로 예정된 날이다. 계획대로라면 밤늦게, 혹은 내일 새벽에 도착할 것이다. 하루를 지배하는 건 무엇일까. 무엇이 나를 지배하고 때로 나를 농락할까. 나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나를 구성하는 모든 것들은 예전의 그것과 다르게 변화한다.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래도 고유한 무언가는 변하지 않을 것 같다.
여러 권의 책을 늘어놓고 읽는 흉내를 낸다. 무언가 몰입할 수 있다면 더위도 잠시 잊을 수 있기를 바라지만 생각뿐이다. 좋아하느냐고 물으면 선뜻 답할 수 없는 작가 요시모토 바나나의 『바다의 뚜껑』은 충동구매였다. 처음부터 읽는 것도 아니다. 아무 곳이나 펼쳤다. 그랬더니 이런 문장이 나를 붙잡았다. 세상에나, 내 머릿속에 들어온 거 아니야? 이 소설에 대한 사랑은 오래 지속될지도 모르겠다.
‘인간은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누가 없애 버리려 하거나, 일부러 획일화하려 해도, 아무리 억압해도 절대 없어지지 않는, 그런 힘을.’
‘거푸 돌아오는 계절을 영원히 볼 수는 없다. 적어도 버드나무보다는 먼저, 나는 이 세상에서 사라지리라.’
장석주의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는 그의 산문이 궁금해졌기 때문이다. 시로 만난 장석주가 아닌 산문을 읽고 싶었다. 많은 책 가운데 이 책을 선택한 건 제목이 주는 울림 때문이다. 그리고 며칠 전부터 오정희의 『새』를 다시 읽고 싶었다. 천진하다고 할 수 없는 우미의 눈빛과 마주하고 싶었다. 내일에 대한 아무런 기대도 없이 살아가는 삶에도 변화는 존재한다. 어떤 일이 벌어질까 기대감이 아닌 두려움으로 마주하는 시간들은 무겁고 어둡다. 작고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는 세포를 키우는 여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