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리스트의 아들 - 나의 선택 테드북스 TED Books 1
잭 이브라힘.제프 자일스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알고 있다. 아이의 성장에 있어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이다. 가르치지 않아도 부모의 언행을 고스란히 익히고 따라서 하는 아이를 보며 놀라곤 한다. 양육자의 태도와 가치란 양분을 먹고 아이는 자란다. 스스로 판단을 할 수 없는 어린 나이에 부모는 단 하나의 거울이자 세상이다. 미국에 살고 있는 일곱 살 잭에게 아버지 다정한 사람이고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어머니는 자애로운 사람이다. 신앙심이 깊은 이슬람인이었다. 그런 아버지가 1990년 미국에서 유대인 랍비를 죽였다. 그랬다. 잭의 아버지 엘사이드 노사이르는 테러리스트였다. 그러나 아버지는 가족들에게 누명이라며 모든 걸 부인한다. 면회를 갈 때마다 전화통화를 할 때마다 “기도하고 있니? 엄마한테 착하게 굴고 있니?”라고 말할 뿐이다.

 

 노사이르는 유대인 랍비 살인 혐의에서는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범죄 목적의 무기 소지와 폭행은 유죄를 받았다. 그리고 경악할 사실은 1993년 2월 뉴욕 세계무역센터빌딩 화재 역시 테러였고 감옥에 있던 노사이르가 계획하고 도왔다는 것이다. 노사이르는 잭이 알고 있던 아버지가 아니였다. 테러리스트 노사이르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삶은 고통의 연속이었다. 사람들의 눈을 피해 살아야했고 폭언과 조롱을 온몸으로 견뎌야만 했다.

 

  ‘안정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언제나 누군가 우리의 정체를 알아냈다. 우리가 노사이르 가족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두려움과 굴욕감이 다시 찾아왔고 우리는 또 이사했다.’(73쪽)  

 

 그럼에도 잭은 열두 살까지 아버지의 말을 그대로 믿었다. 감전 사고로 화상을 입은 아버지가 미국에서 살아갈 수 있었던 유일한 힘은 이슬람을 향한 신앙이었다는 걸 알기에. 그러나 어린 잭이 알 수 없었던 사실이 있었다. 노사이르가 지하드 운동의 중심에 있다는 걸 미국인과 이스라엘인을 향한 증오로 가득 차 있었다는 걸 몰랐다.

 

 모든 사실을 알아버린 어머니는 아버지와 이혼했지만 시련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어머니의 재혼으로 새로운 가족이 생겼지만 새아버지 아메드의 폭력에 시달렸다. 미국을 떠나 이집트에 머물렀으나 행복하지 않았고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다. 말 그대로 파란만장한 삶이었다. 고통의 시간을 지낼 수 있었던 건 누나와 동생, 그리고 강한 어머니가 있었기 때문이다.

 

 잭에게 모스크는 언제나 옳은 존재였고 의문을 품지 않았다. 그것이 가장 무서운 편견이었다는 걸 잭은 알게 되었다. 편견 없이 자신을 바라봐 준 친구가 있어 잭은 새로운 용기와 힘을 키울 수 있었다. 테러리스트의 아들이라고 고백하는 잭은 그들에게 누구의 아들이 아닌 그냥 잭이었으니. 만약, 잭에게 그런 친구가 없었다면 잭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테러리스트의 아들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폭력을 삶의 수단으로 삼았을지도 모른다.

 

  ‘나는 스스로 대단하게 내세울 것이 없다. 하지만 우리의 삶에는 저마다의 화두가 있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의 화두는 누구에게나 선택의 기회가 있다는 것이었다. 증오를 훈련받았어도 관용을 선택할 수 있다. 공감을 선택할 수 있다.’ (28쪽)

 

 담담하게 자신의 지난 삶을 들려주는 잭의 이야기를 들으며  선택이 아닌 주입식으로 스며든 모든 것들이 불러온 결과가 얼마나 끔찍한가 생각한다. 더불어 편견과 섣부른 판단이 무서운 독을 품은 화살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는다. 부끄럽게도 나 역시 이슬람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었다. 전체가 아닌 일부만 보고 진실인 양 믿었고 다른 방향으로 보려고 하지 않았던 적이 많았다. 우리 스스로가 공감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저버리는 경우는 얼마나 많았을까, 생각하니 무섭다. 공감은 증오보다 힘이 세다는 잭의 말에 응원을 보낸다. 더불어 공감을 선택하고 퍼뜨리는 하나의 방법으로 많은 이들이 작은 책을 읽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