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인데 어두운 방
에쿠니 가오리 지음, 신유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위기에 취하다는 말이 있다. 의도하지 않았던 말과 행동을 쏟아내는 대부분은 계획이 아닌 충동에 의한 것이 많다. 돌이켜보면 후회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어쩌면 그 순간 자신의 감정에 최선을 다했다는 말로 표현할 수도 있다. 에쿠니 가오리의 『한낮인데 어두운 방』속 미야코도 묘한 분위기에 동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 번이 아닌 지속적인 어떤 감정이라면 그건 다른 것이다.

 

 아주 규칙적인 삶을 사는 여자 미야코는 평온하다. 자신의 이야기에 집중하지 않는 남편 히로시가 서운하지만 불만을 토할 정도는 아니다. 아이가 없는 결혼생활도 만족스럽고 살림을 하는 생활도 나쁘지 않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떨림은 없다. 그것을 걱정이라 여기지 않고 살아간다. 미야코를 바라보는 한 남자가 있다. 같은 동네에 사는 이웃으로 자주 인사를 나누는 미국인으로 대학 강의를 하는 존스 씨다. 그 사실을 모르는 건 미야코 혼자다.

 

 존슨 씨와 가까워진 건 함께 동네를 산책하면서다. 미야코는 이상하게 존스 씨가 편하고 말이 통하는 게 신기했다. 히로시와는 다른 느낌이랄까. 딱히 잘못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했다. 히로시에게도 존스 씨와의 산책을 모두 말했으니까. 문제는 존스 씨 집에 다녀온 이야기를 들을 남편의 반응이었다. 마치 바람을 피운 것처럼 매도한다. 놀랍게도 남편과 다툰 후 미야코는 존슨 씨를 찾았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진다.

 

 ‘확실히 나는 존슨 씨와 있으면 평소 못 느끼던 것을 많이 느꼈어. 바람을, 햇살을, 새소리를. 세상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말았어. 자유를, 키득키득 웃고 싶어질 만한 비밀스러운 떨림을, 어린아이로 돌아간 듯한 마음 든든함을 느끼고 말았어.’ (186쪽)

 

 권태로운 일상에 한 줄기 바람이 분 것이다. 예전에 몰랐던 바람이다. 사람들은 그것을 죄라 부른다. 어떤 떨림과 흥분을 느끼는 게 과연 죄일까. 앨리스 먼로의 단편소설 「일본에 가 닿기를」 (적극적으로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려는 주인공이 등장한다)에서도 죄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그런데 나는 궁금하다. 죄라는 기준이 어디에 있는지 말이다. 그저 돌이킬 수 없는 감정에 휩싸였을 뿐이다. 감정을 제어할 수 있는 이는 오직 한 사람, 자신밖에 없다. 그러니 미야코를 지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녀의 감정이고 선택이니 말이다.

 

 우스갯소리로 남이 하면 불륜이고 내가 하면 로맨스라고 하는 말이 맞을 수 있다는 뜻이다. 누구도 그 사람이 될 수 없으니 섣불리 판단하지 말아야 한다. 다만 들어주고 내 의견을 듣고자 한다면 솔직한 의견을 들려주면 된다. 소설이라는 세계에서 마주한 상황이라 나 역시 이렇게 말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

 

 다시 소설로 돌아오면 그저 그런 연애소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야코의 이런 고백(‘나, 세상 밖으로 나와버렸어.’)으로 우리는 연애 소설이 아닌 성장소설로 봐야 한다. 안전한 성에서 인형처럼 살았던 미야코가 그 성을 버리고 세상 밖으로 나온 건 다름 아닌 하나의 성장이다. 뻔한 결말이 아니라서 더욱 그렇다. 나를 둘러싼 모든 것들을 벗어나서 내가 그것들을 선택할 수 있는 삶.

 

 에쿠니 가오리의 소설은 이번에도 잔잔하다. 평화롭게 지속되는 일상의 묘사와 한 겹 옷을 입은 듯 절제된 감정의 표현. 오히려 잔잔해서 그 안에서 몰아치는 광풍은 점점 더 커진다. 미야코의 심연처럼 말이다. 그러니까 미야코는 한낮인데 어두운 방 분위기에 취한 게 아니라 내면의 목소리를 들은 것이다. 단지 그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