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리만치 긴 여름 탓일까. 추석이 너무 이르다는 생각을 자꾸 했고 연휴 이틀은 오빠네 식구와 함께 보냈다. 함께 했다는 건 밥을 먹고 TV를 보고 과일을 먹고 잠깐 낮잠을 잤다는 말이다. 추석날은 주일이라 함께 교회에 가서 예배를 드렸다. 이곳은 시골이라 추석 전후가 정말 바쁘다. 오빠와 올케언니는 하루를 하루가 아닌 이틀 정도로 살고 있는 듯하다. 시간이 날 때마다 마늘을 심고 있고 해야 할 일들이 쌓여 있다고 했다. 거기다 심각한 가뭄까지 농부의 마음은 더욱 무겁고 바쁘다.
연휴가 끝나고 큰언니 집에 다녀왔다. 서류가 증명해주는 것들을 처리하고 옷과 가방, 그리고 책을 정리했다. 정리하는 중이라는 말이 맞다. 여전히 우리는 정리 중이다. 그곳에서 10월을 맞았고 쏟아지는 시원한 빗줄기를 바라보았다. 가을은 처음이었다. 그러니까 큰언니와 온전히 사계절을 보낸 적이 없다. 사랑하는 사람과 계절을 보낸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의미를 부여하는 게 의미 없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좋아하는 바다가 계절마다 다르게 느껴지지만 바다라는 존재만으로 든든한 것처럼 말이다.
집으로 돌아왔지만 이상한 피곤이 나를 놓아주지 않는다. 뜨거운 열기로 피곤을 누르는 일상이지만 책으로의 복귀는 어렵다. 가져온 책을 정리하고 읽은 책에 대해 무언가 쓰고 싶지만 쓸 수가 없다. 대단한 것을 쓰려고 하는 게 아닌데 그물에 걸린 것 같은 기분이 사라지지 않는다. 그물을 잘라 줄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것은 책에서 비롯될 것이다. 반가운 김연수 소설의 소식도 그렇다. 반가운 김연수 소설의 소식도 그렇다. 세 권의 책이 재출간되었지만 『스무 살』과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만 취한다. 두 권의 소설과 함께 김연수를 읽을 좋은 사람이 떠오른다. 지나치게 예쁜 민트여서 자꾸 눈이 가는 황인찬의 『희지의 세계』, 색다른 몽골의 얼굴을 보여줄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영감 아닌 염감을 줄 거라 믿는 조에 부스케의 『달몰이』를 펼치는 가을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