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정한 편견
손홍규 지음 / 교유서가 / 2015년 5월
평점 :
좋은 책에 대해 말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좋다는 건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이기 때문이다. 타인에게 자신 있게 권하려면 책에 대해 객관적 시선을 가지고 평가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 두루뭉술하게 좋다 말하는 건 애정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문장이 아름답다거나 작가의 사고가 신선하다거나 쉽고 재미있다거나 그것도 아니면 작가가 잘 생겼다거나(?) 구체적인 언급이 필요하다. 손홍규의 『다정한 편견』에 대한 이야기다.
누군가는 이미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알 것이다. 2008년 1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경향신문에 연재한 <손홍규의 로그인>이라는 칼럼을 통해 만난 사람이라면 말이다. 매 꼭지마다 원고지 4.5를 지켜야 하는 글은 생각처럼 쉬운 게 아니다. 하고 싶은 말이 많을 때는 가감 없이 줄여야 하고 반대의 경우는 머리에 쥐가 나는 시간을 견뎌야 한다. 적절한 분량에 전해야 할 메시지를 담아냈는 것, 역시 대단하다.
손홍규의 길지 않은 글을 읽으면서 지난 2008년~2012년의 시간을 현재처럼 실감한다. 그것은 변하지 않는 사회구조와 인식, 그리고 정치인과 권력의 높은 벽이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 벽을 향해 끊임없이 전진하는 우리의 모습도 여전하다. 그렇다고 손홍규가 다룬 주제가 사회문제나 문학이 전부는 아니다. 유년 시절의 소소한 기억들과 부모님에 대한 애틋한 마음, 서울살이의 버거움은 특별하지 않은 우리의 모습과 닮아 친근하다. 이런 글을 통해 그가 가장 귀하게 여기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뜬눈으로 겨울을 지내는 이유는 봄이 그리워서가 아니라 사람이 그리워서다. 그러므로 봄은 봄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오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봄이 오는 소리는 사람의 발소리를 닮았다.’ (107쪽)
우리가 사람을 기다리는 게 봄이라는 계절뿐일까. 각다분한 삶 속에서 항상 그립고 힘이 되는 이가 바로 사람이라는 사실에 고개를 주억거린다. 그리고 주변을 둘러보게 된다. 내가 그리워하는 사람을 생각하고 나는 누군가에게 그리운 사람인가 생각하는 것이다. 나를 보여주고 진심을 나눌 사람이 줄어드는 세상을 사는 게 가슴 아프다. 그이 글을 읽노라면 생각이 많아진다. 잘 사는 게 정말 정말 어려운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건 무엇일까. 개혁을 위한 작은 변화는 어디에서 시작되는 것일까.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로 인해 불안과 공포를 먹고사는 요즘 손홍규의 문장이 절실하게 다가온다.
‘타인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일이라면 그게 무엇이든 지키고 살아야 한다. 시련이 없을 때 우아해지기란 퍽 쉽다. 그러나 고난 속에서도 우아해지기란 쉽지 않다. 하루에도 몇 번씩 자신만의 원칙을 허물 것인가 말 것인가로 고뇌하는 그대가, 원칙을 지키기 위해 눈에 띄지 않는 희생을 감내한 그대가 누구보다 우아하다.’ (153쪽)
부족한 게 아주 많겠지만 이 정도면 손홍규의 『다정한 편견』에 대한 객관적인 애정이 드러났을 거라 믿고 싶다. 주관적인 애정이 아닌 객관적인 애정으로 받아주면 좋겠다. 그리하여 그대도 이 책을 매만질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