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나는 없었다 애거사 크리스티 스페셜 컬렉션 1
애거사 크리스티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누가 봐도 행복한 한 여자가 있다. 조앤, 그녀는 남편과 아이들을 사랑하며 돌보는 삶이 최고라고 믿는다. 변호사라는 멋진 직업이 아닌 농부가 되겠다는 남편의 간절한 꿈을 아무렇지 않게 접어버린다. 자신이 그려놓은 그림처럼 남편과 아이들이 움직여주기를 바란다. 첫 딸의 불같은 사랑으로 그녀의 인생 계획이 수정되나 싶었지만 조앤의 뜻대로 이뤄졌다. 조앤은 언제나 타인을 의식하며 살아왔다. 그리고 그런 삶이 성공이라 자부한다.

 

 정말 행복은 그런 것일까? 막내딸의 병간호를 끝내고 런던으로 돌아오던 중 여고 동창 블란치를 만난다. 짧은 만남이었지만 반가움보다 불편함이 더 컸다. 블란치가 내뱉은 조앤의 딸에 관한 이야기 때문이다. 조앤은 아무것도 모른다는 말투였다. 공교롭게 폭우로 인해 기차는 오지 않고 사막의 숙소에서 머문다. 기차가 언제 도착할지 모르는 상황, 사막에서 조앤은 묘한 시간을 경험한다. 오직 자신만의 시간이라 여기지만 블란치의 말이 계속 맴돈다.

 

  조앤은 자식들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 로드니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몰랐다. 그들을 사랑했지만 알지는 못했다. 알아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 사람들을 사랑하면 그들에 대해 알아야 하는 건데. 참된 진실보다도 유쾌하고 편안한 것들을 사실이라고 믿는 편이 훨씬 수월하기 때문에, 그래야 자신이 아프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 대해 몰랐다.’ (201~202쪽)

 

 남편 로드니와 아이들과 보냈던 지난 삶이 떠오른다. 엄마의 방문을 반기지 않았던 막내딸 내외, 마찬가지로 아내가 먼 길을 떠나는데 전혀 아쉬워하지 않았던 남편. 엄마 때문에 아빠가 농장 생활을 포기했다던 아들 토니의 말이 불현듯 살아난다. 조앤의 결정은 모두 남편과 아이들을 위한 것이었다. 뜨거운 사막의 열기 속에서 혼자가 된 조앤은 모든 게 혼란스럽다. 남편이 자신에게 했던 말과 행동은 진심이었을까. 아니면, 남편은 조앤이 모르는 진실을 감추고 있는 건 아닐까. 완벽하게 위장된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하고 초조하다.

 

 ‘사막에 온 건 그것 때문이다. 이 맑고 무지막지한 빛줄기가 그녀에게 자신의 본래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그동안 외면했던 모든 진실을 보여줄 것이다. 사실은 그녀도 다 알고 있었던 모든 것을 보여줄 것이다.’ (213쪽)

 

 사막에서 조앤은 자신의 내면을 들킨 것만 같다. 런던으로 돌아가면 달라질 것이라 다짐한다. 사랑한다는 이유로 강요했던 감정이 아닌 남편과 아이들이 원하는 감정을 받아들이겠다고 말이다. 하지만 변화가 그리 쉽던가. 사막의 조앤은 사라지고 예전 그 모습의 조앤만 존재할 뿐이다.

 

 ‘로드니는 지쳤지만 친절한 눈빛으로 아내를 지긋이 바라보았다. 밝고 유능하고 분주한, 자신에게 만족하는, 성공한 사람의 모습이었다. 이 여자는 스물여덟 살로부터 하루도 늙지 않은 것 같군. 그는 생각했다.’ (260쪽)

 

 부족함이 없는 중년 여인 조앤을 통해 오정희 소설 「어둠의 집」속 주인공이 떠올랐다. 자신의 품을 떠나버린 자식들, 텅 빈 집 안에 혼자 남은 중년의 삶은 닮은 듯 다르다. 적어도 조앤은 외롭거나 쓸쓸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어쩌면 그것은 로드니의 생각처럼 조앤만의 착각인지도 모른다. 조앤은 여전히 당당한데 그 황망한 사막에 혼자 서 있는 듯 허전한 기분을 감출 수 없는 건 왜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