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언가 되고 싶었던 시절이 있었다. 어떤 대상을 흠모했던 시절이기도 하다. 여전히 그 대상은 굳건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무언가에 대한 애정의 온도는 식지 않았다. 하지만 끓는점을 향해 올라가지 않는다. 그러니까 미지근한 온도라는 말이다. 누군가는 무엇이 되고 있다. 누군가는 무엇에 가까이 다가서고 있다. 그것은 그들의 열정이 끓는점을 넘었기 때문이다. 그런 사실을 적확하게 알고 있다는 게 싫다. 괜한 투정이다. 억지스러운 마음이다.

 

 10월이 되었고 끼니처럼 불안이 몰려온다. 지난 시간에 대한 후회와 절망이 나를 감싼다. 하고 싶다는 마음을 핑계로 삼았다. 옅어지는 간절함을 당연하게 담았다. 어떤 움직임 없이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걸 절감한다. 그러니 이 마음을 드러내서도 안 된다. 그러나 드러내지 않으면 다짐은 사라지고 만다. 부서질 다짐이라도 말이다. 무언가 되고 싶었던 시절의 열정이 소모되지 않았다면 다시 끓어오를 수 있을까. 거창한 도전이라는 이름이 아닌 부단한 노력만이 그것과 맞닿을 수 있을 것이다.

 

 여하튼 10월은 자책의 시간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개인적인 사랑 연서인 <정확한 사랑의 실험> 뒤적이며 (알았더라면 구매 여부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시집을 둘러본다. 제목이 매혹적이다. <죄책감>, <우울은 허밍>이라니. 지난 시간을 허투루 보낸 내가 읽어야 할 시가 될 것 같다. 그날을 잊지 않기로, 그날을 새겨야 하는 이유를 작가들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는 책 <눈먼 자들의 국가>, 이언 매큐언의 신간 <이노센트>, 친구에게 선물할 김동률의 <동행>까지.

 

 

 

 

 

 

 

 

 

 

 

 

 

 

 

 

 

 겨우 오늘 아침에 여름 이불 빨래를 끝냈다. 계절이 바뀔 때마다 꺼내는 이불처럼, 생각의 두께도 달라지면 좋겠다. 바람의 크기와 냄새에 맞는 적당한 이불처럼 현명한 사람이 되고 싶다. 저마다 열심을 내는 치열한 삶 속에서 정말 읽는 것만으로도 괜찮은 걸까. 나는, 이대로 괜찮은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