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에 대해 말하는 건 어렵다. 왜냐하면 객관성을 유지하려 해도 지극히 주관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글은 지극히 사적인 감정이 실렸다. 번역가 김연수가 아닌 소설가 김연수는, 장편소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으로 처음 만났다. 한 장의 사진으로 시작해 거대한 우주를 도는 듯 어지럽고 어려운 소설이었다. 그 어려움은 『밤은 노래한다』로 이어졌고 김연수가 소설을 통해 말하고 싶은 건 ‘나’가 아닌 ‘우리’라고 짐작했다. 전쟁과 역사를 다루면서 과거가 아닌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의미를 묻고 있다는 건 내게 무척 어려운 문제였다.

 

 김연수의 산문집 『청춘의 문장들』, 『여행할 권리』도 가벼운 왈츠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김연수를 놓을 수 없었다. 도서관을 통해 마주한 『스무 살』, 『7번 국도』를 읽으면서 그가 좋아졌다. 그러니까 그의 글이 나만을 위한 글이 될 수도 있다는 걸 발견한 것이다. 『내가 아이였을 때』, 『세계의 끝 여자친구』, 『원더보이』를 통해 그것은 확신이 되었다. 김연수가 소설에서 쓰고자 하는 건 ‘우리’라는 전체를 구성하는 수많은 ‘나’를 이해하고 위로하고자 한다는 것을 말이다. 그러므로 그가 건네는 진실한 문장엔 강렬한 따뜻함이 함께 한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위해 노력하는 이 행위 자체가 우리 인생을 살아볼 만한 값어치를 있는 것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 쉽게 절망하지 않을 것, 그게 핵심이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작가의 말 중에서』

 

 모든 건 너의 선택이라는 걸 잊지 말아라. 원하는 쪽으로 부는 바람을 잡아타면 되는 거야. 절대로 네 혼자 힘으로 저 봉오리를 넘겠다고 생각해서는 안 돼. 혼자서는 어디도 갈 수 없다는 걸 기억해. 너를 움직이게 하는 건 바람이란다. 너는 어떤 바람을 잡아탈 것인지 선택할 수 있을 뿐이야.’ 『원더보이, 300쪽』

 

 

 

 

 

 

 

 

 

 

 

 

 

 

 

단 한 권의 책을 선택하기란 어렵지만 그리해야 한다면 안타깝게 절판을 선언한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을 꼽는다. 이 소설은 소통과 관계를 말했던 단편집 『세계의 끝 여자친구』의 확장처럼 보이기도 한다. 입양아 카밀라가 생모를 찾는 과정은 단순하게 자신의 뿌리와 닿고자 하는 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심연에 닿고자  한다. 그건 결국 나와 당신의 일처럼 보이지만 그들이 겹쳐지면 그건 사람과 사회, 사람과 세상, 사람과 우주가 될 수도 있다는 놀라운 일이다. 그러므로 김연수가 끊임없이 소설을 통해 말하는 건 누군가를 온전하게 이해하는 일이다. 김연수의 소설은 편견과 오해로 인해 드러나지 않은 상처까지 발견하고 어루만지는 강력한 온기를 지녔고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은 그 정점에 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서로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는 심연이 존재합니다. 그 심연을 뛰어넘지 않고서는 타인의 본심에 가닿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우리에게는 날개가 필요한 것이죠. 중요한 건 우리가 결코 이 날개를 가질 수 없다는 점입니다. 날개는 꿈과 같은 것입니다. 타인의 마음을 안다는 것 역시 그와 같아요. 꿈과 같은 일이라 네 마음을 안다고 말하는 것이야 하나도 어렵지 않지만, 결국에 우리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 방법은 없습니다. 그럼 날개는 왜 존재하는 것인가? 그 이유를 잘 알아야만 합니다. 날개는 우리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길은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날개가 없었다면, 하늘을 난다는 생각조차 못했을 테니까 하늘을 날 수 없다는 생각도 없었을 테지요.”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274~275쪽

 

 

 여전히 김연수는 소설을 쓸 것이고 나는 그것들을 읽을 것이다.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를 읽는 건 나의 일이다. 그의 속도에 맞춰 소설을 모두 읽었다고 말할 때까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