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월요일에 나는 두 사람에게 메일을 보냈다. 내게는 아주 중요한 메일이었다. 한 사람은 월요일에 메일을 읽자 마자 바로 답장을 보내주었고 전화로도 이야기를 나눴다. 메일로 질문했던 것에 대한 답을 주었고 연락을 못했던 10여 개월에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도 나눴다. 안부를 묻고 나중에 또 연락하자며 통화를 끝냈다.  나머지 한 사람은 오늘 오후에 답을 주었다. 그 역시 내 질문에 명쾌한 답을 주었다. 두 사람에게 같은 내용의 질문을 한 건 아니다. 차마 부끄러워 이곳에 밝힐 수 없지만 공통점이 있기는 하다. 원했던 답을 듣지 못했기 때문일까. 울적하고 울적하다.

 

 이런 기분을 전환시키려면 뭔가 사야 하는데 자제 해야 하는 시기이므로, 그냥 책을 담기만 한다. 곁에 두었으므로 곧 읽게 될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 수상작 『그치지 않는 비』, 창비에서 나온 『덧없는 환영들』은 제목과 표지가 이 저녁의 나를 위로한다. 어떤 내용일까, 궁금하지만 여기까지. 소설가 이혜경의 산문집 『그냥 걷다가, 문득』은 왠지 다정하고 내밀한 이야기를 들려줄 것만 같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

 

 

 

 

 

 

 

 

 

 

 

 

 

 

 

 

 

 

 

 읽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책은 박경철의 『문명의 배꼽, 그리스』, 생각날 때마다 꺼내서 읽는 강성은의 시집 『구두를 싣고 잠이 들었다』와 박연준의 시집 『속눈썹이 지르는 비명』, 그리고 좋은 리뷰를 쓸 수 있다면 그러고 싶은 장승리의 시집 『무표정』, 과 박준의 시집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다. 나열한 시집은 아주 오랜 시간 내가 아끼게 될 것 같다. 당신들의 책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