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낙엽
토머스 H. 쿡 지음, 장은재 옮김 / 고려원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일반적으로 타인에게 좋은 모습만 보이기를 원한다. 어쩌면 그것은 의도하지 않은 가장 기본적인 욕구인지도 모른다. 불운한 삶이 아닌 행복한 삶을 꿈꾸는 단순하면서도 거대한 소망처럼 말이다. 그 소망이 실현되었을 때 그것이 사라질 거라 생각하며 사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닥친 갑작스런 사고나 불행에 대해 강력하게 대처한다. 문제는 언제나 불신과 추측이다. 사실과 진실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아니라 확인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의심이 모든 것을 망쳐놓는다. 혹시 혹은 만약에, 라는 생각이 연기처럼 피어오르는 것이다.

 

 『붉은 낙엽』은 그런 심리를 탁월하게 묘사했다. 물론 이 소설은 범죄소설이며 추리소설의 장르에 속한다. 이웃의 한 아이가 실종되고 주인공의 아들이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며 벌어지면서 겪게 되는 두려움과 공포에 대한 이야기다. 주인공 에릭은 사진관을 운영하고 그의 아내 메러디스는 대학 강사다. 둘 사이엔 평범한 중학생 아들 키이스가 있다. 누가 보더라도 단란한 가족이다.

 

  평소와 마찬가지로 에이미 부모의 부탁으로 키이스는 아이를 돌봐주고 돌아온다. 다음 날 에이미가 사라지면서 키이스는 경찰의 조사를 받는다. 그 과정에서 에릭은 아들 키이스에 대해 모르는 게 없다고 다짐할 수 없다는 사실에 놀란다. 사춘기 아들이 갖고 있는 생각이 무엇인지,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싫어하는지, 이층 방에서 혼자 무엇을 하고 시간을 보내는지 전혀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에릭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키이스의 지난 행동에 대해 의심을 한다. 그러면서 요양원에 계신 아버지와 자동차 사고로 죽은 어머니, 어린 나이에 죽은 동생 제니, 혼자 사는 형 워렌을 생각한다. 아들 키이스와의 관계를 통해 아버지와 자신의 사이를 돌아본다.

 

 실종된 에이미의 진범을 찾는 과정과 에릭이 알지 못하는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의 비밀에 대한 이야기가 가족이라는 큰 퍼즐을 하나씩 맞추며 이어진다.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의 고통과 분노, 용의자로 몰린 키이스를 지키려는 에릭 부부의 대립이 팽팽하게 흐른다. 에릭이 알지 못했던 키이스의 모습들과 하나씩 드러나는 증거들로 인해 소설은 어느새 키이스가 범인일지 모른다는 확신을 독자에게 심어준다. 빨리 범인을 잡아야 하는 경찰, 키이스를 범인으로 단정한 에이미의 아버지, 걷잡을 수없는 의심으로 아내까지 믿지 못하는 에릭. 그들에게 행복은 현재가 아닌 과거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환하게 웃고 있는 가족사진처럼 말이다.

 

 ‘나는 창 앞에 남아서, 아침 햇빛이 늘어진 나뭇가지 사이로 비쳐드는 장면을 지켜보았다. 이 집을 둘러싼 숲의 작은 조각이 이토록 아름답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잠시 나는 우리가 이곳에 이사 오던 날을 회상했다. 트럭에서 짐을 부리는 동안 우리는 주위를 둘러보며 어떤 시간을 가졌던가. 날은 또 얼마나 화창했던가. 그날 우리가 이 완벽한 숲에 함께 모여, 모두가 웃고 또 웃으며 얼마나 행복해 했던가. 167쪽’

 

 소설은 잔인하게도 한 가족이 어떻게 와해되는지 그 과정을 낱낱이 보여준다. 하나의 사건을 계기로 가족은 서로를 보듬어 껴안거나 절대로 다시 붙일 수 없는 수 천 개의 조각으로 부서지기도 한다. 누구의 잘못 때문이 아니라, 견고하다고 믿었지만 티끌 만한 것에도 쉽게 흔들리며 오해의 벽을 만드는 인간의 마음 때문인 것이다. 

 

 ‘중요한 것은 에이미가 카렌 지오다노의 딸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내가 그즈음 동네의 길을 걸어가다 느낀 것은, 멀리 높은 곳에서 사람들의 얼굴을 보면 모래알처럼 구별이 안 되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자세히 보면 어떤 얼굴이든 독특하고 딱 하나뿐이라는 것이었다. 그 얼굴들은 엄마의 얼굴이거나 아빠의 얼굴이고, 누이 혹은 형제의 얼굴이며, 딸의 얼굴이거나 아들의 얼굴이다. 그 얼굴에는 수많은 기억들이 아로새겨져 있어서 다른 누구의 얼굴과도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이것이 모든 애착의 핵심이고, 그 애착이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특질이다. 우리가 이런 애착의 기억들을 갖지 못한다면, 우리는 영원히 무관심의 바다에서 허우적거리며 무표정한 눈으로 서로를 알지 못한 채, 가장 기초적인 영양분을 찾아 바다를 떠올게 될 것이다.’ 19~20쪽

 

 유괴 범죄라는 섬뜩한 소재로 시작되었지만 소름이 돋을 정도로 무척 아름다운 소설이다. 생생하게 포착한 불안과 주인공의 내밀한 감정이 잘 표현되었다. 더불어 우리 삶에 있어 중요한 게 무엇인지 확인시킨다.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관계인 가족이야말로 거대한 우주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란 걸 각인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