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는 나를 처제, 하고 불렀다 문학동네 시인선 28
박연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내렸고 세상은 느려졌다. 자동차는 길을 떠나는 대신 달콤한 잠에 취했고 안부를 묻는 전화는 틈을 두고 이어진다. 동(動)으로 가득했던 세상이 잠시나마 정(靜)으로 변화한다. 곧 사라질 것을 알기에 요란하지 않게 맞이하려 해도 닿는 곳마다 마주하는 눈은 이런 시를 찾게 만든다. 겨울이라는 계절과 하나가 되는 누군가를 데리고 온다.

 

 <겨울의 고도(高度)>

 

 빨간 코트가 잘 어울렸으면 좋겠다

 얼굴 위로 자꾸만 음영이 드리워지는데

 나를 덮은 우주의 그림자가

 나무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겨울의 갈라진 살결, 그 가느다란 틈에

 나는 끼워져 있다

 

 앙상한 얼굴의 낯선 사내가

 가끔 주먹으로 두드려보는

 나는 겨울이 앓는 문둥병,

 눈썹이 빠지고 코가 주저앉은 채로 휘파람 분다

 

 애인은 내내 화두였다

 전화는 오래도록 먹통이었고

 바람이 유난히 보채는 날에는

 거리를 배회하는 젊은 여자들 오목한 허리선에

 베이고 싶었다

 

 입 열면 허연 입김

 겨울에 피어나는 그을음처럼, 아득히 퍼지고

 나는 겨울의 고도를 생각하며

 자주 떨었다 (42쪽)

 

 <노란 꼭대기>

 

 겨울은 머리카락들이 수선을 떨며

 돌연 사상을 전향하기 좋은 계절

 끝내 완전한 오해로 이루어진 성에 들어가

 불 지르고, 함께 타고 싶다

 나는 정오를 모르고 오후 2시를 몰라요

 노래 부르다

 뜨겁게 녹아내리리라

 

 너는 ‘나’라는 비린내를 묻히고 돌아다니는 바람

 

 떨어지는 깃발

 끊기지 않는 리듬

 빨간 입술이 파랗게 질릴 때까지 뛰어다니는

 시(詩)

 

 누가 내 삶의 가장자리를 따라

 푸른 실로 시침질하네

 

 비틀린 뿌리를 가진 작은 꽃들이

 비로소 편안히 시들 수 있도록 (61쪽)

 

 박연준의 시집 『아버지는 나를 처제, 하고 불렀다』에서 빼놓아서는 안 될 시는 바로 아버지에 대한 시다. 당신의 아버지는 어디에 있냐고, 당신은 아버지를 얼마나 사랑하느냐고 묻는다. 나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없다. 방 한 쪽에 죽은 아내의 사진과 당신의 사진을 나란히 걸어놓은 내 아버지는 늙었고 병들었다. 먼 훗날, 혹은 멀지 않은 날에 내 아버지도 나를 물끄러미 바라만 볼 시간이 올지도 모른다. 육체뿐 아니라 정신까지 허약해진다는 건 지독하고 날카로운 고통일 것이다.

 

 <뱀이 된 아버지>

 

 아버지를 병환에 걸어놓고 나왔다

 얼굴이 간지럽다

 

 아버지는 빨간 핏방울을 입술에 묻히고

 바닥에 스민 듯 잠을 자다

 개처럼 질질 끌려 이송되었다

 반항도 안 하고

 아버지는 나를 잠깐 보더니

 처제, 하고 불렀다

 아버지는 연지를 바르고 시집가는 계집애처럼 곱고

 천진해 보이기까지 했다

 

 나는 아버지의 팥죽색 얼굴 위에서 하염없이 서성이다

 미소처럼, 아주 조금 찡그리고는

 고개를 들어 천장을 지나가는 뱀을 구경했다

 

 기운이 없고 축축한 ― 하품을 하는 저 뱀

 

  나는 원래 느리단다

  나처럼 길고, 나름답고, 축축한 건

  원래가 느린 법이란다

  그러니 얘야, 내가 다 지나갈 때까지

  어둠이 고개를 다 넘어갈 때까지

  눈을 감으렴

  잠시,

  눈을 감고 기도해주렴 (20~21쪽)

 

 <물빛, 정오>

 

 12시라는 찻잔 안에서

 애벌레처럼 꿈틀, 피어나는 아버지

 어디 숨어 있었나 했더니

 밤새 줄어들고 줄어들어

 찻잔 속 노란 애벌레가 되었다

 아버지는 가냘픈 목소리로 운다

 아버지는 100년 전

 자신이 화분 속에 심어진 고양이었다는 걸 기억할까?

 

 찻잔 속에서 늘어지게 자다

 가끔 구름이 되기도

 가끔 허공이 되기도 하지만

 그 속에서도 아버지는 성실하다

 

 귀여운 귀여운 아버지

 사그라지는 몸

 사그라지는 목소리

 사그라지는 실체

 

 마침내 잦아드는,

 흘러넘치는

 아버지라는 액체 (30쪽)

 

 어린왕자가 뱀에 물려 자신의 별로 돌아가는 것처럼 아버지는 자신의 별로 돌아갔는지도 모른다. 아버지만의 꽃과 나무가 기다리는 곳으로 말이다. 그러니 박연준의 다른 시에 뱀, 나무, 꽃이 등장하는 건 당연한 것이리라. 원래는 팔이 있었다 / 어느 날 이유 없이 두 팔이 잘리자 / 온몸으로 한을 품어 나무의 정수리에서 (나무의 약력 중에서, 31쪽), 너는 나의 캔버스에 / 낯선 초록과 / 열두 마리 키스를 데려왔지 (나무 중에서, 80쪽) 껍질을 벗어놓고 잠든 뱀은 모른다 / 자신이 털어낸 그림자 속에 / 누가 들어가 잠드는지 (가벼운 숲 중에서, 86쪽), 때문에 그녀의 시는 지극히 몽환적이며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연애의 그늘>

 

 내가 아래로 아래로 떨어질 때

 입술은 위로 위로 흐르리

 역방향으로 흐르는 비틀린 빨강이

 허공에 핀 찰나의 꽃이라고 생각하리

 

 포옹이 오래 고이면

 몸은 하나의 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

 손가락은 사물을 가리키는 막대로 전락하고

 손톱은 가장 딱딱한 미소를 짓는다

 소리가 나지 않는 사고라니,

 누군가 봄을 꺼버렸다

 

 동공 없이 뻥 뚤린 눈 알 속에

 개구리들이 알을 낳고, 알들은 곧 썩는다

 식탁 위 음식들은 왜 모두 죽어 있을까?

 백 년을 씹어도 삼킬 수 없는 질긴,

 가죽 같은 시간이 있을 뿐

 열렬한 잠 속엔 환영이 없다

 

 깡마른 유령 둘이 사다리 위에 앉아

 톡, 톡,

 손톱을 깎고 있는 풍경

 오래 생각하면 어둠도 늙는다 (74~75쪽)

 

 <기억은 청동빛으로 굳는다>

 

 거울 속에서 너는 내 얼굴을 침범하고

 네 눈으로 나를 본다

 너는 권태,

 라고 말한다 코끝으로

 너는 소리를 내지 않는다

 코끝이나 무딘 이마 중앙으로 표현한다

 

 거울 속에 내 모습이 비치지만

 그곳에서 나를 바라보며 도리질 치는 건

 너다 그런데 나는 왜 눈 속에서

 날 바라보는 네 눈을 봐야 하는 걸까?

 

 거울,

 거울 속에서

 너는 몸이 아니라 시간으로 나타난다

 너는 악보의 끝세로줄처럼 서 있다

 너는 한쪽 팔이 잘렸고 그것은 유래 깊은 사건 때문이었다

 그곳에 바다는 없었지만 너는 바닷물에 화상을 입었고

 내가 불탔고, 기억은 팔이 세 개가 되었다

 거울 밖에서 돋아난 겨울 속엔 지렁이 세 마리가 산다

 움직이지 않는 채로 자란다

 

 거울 속에서 나를 뒤집어쓴 너는

 끊어지는 허밍으로 존재하고

 우리는 밤의 치마를 들친 벌을 받는다 (52~53쪽)

 

 박연준의 시에서 나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본다. 부모, 형제, 연인, 친구와 보낸 시간의 조각들을 이어 붙인다. 희미해진 사진 속에 갇힌 얼굴을 발견한다. 잊고 있던 이름들, 잊었다고 믿었던 이름들을 불러온다. 어쩌면 12월이라서, 연말이라서 그런지도 모른다. 그들의 이름을 불러 볼 핑계를 찾으려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