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저하다간,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말은 옳았다. 미리 겁을 낼 필요도 없었다. 어떤 결과든 시작이 있어야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떠난 것이다. 떠났다는 말은 과장된 게 아니다. 과장되었다 해도 좋았다. 그 날 나는 아침 6시 40분에 일어났다.  샤워를 하고 아침을 먹었다. 설거지를 하고 커피는 마시지 않았으며 창문을 열어 맑은 하늘을 확인했다. 출발하면서 문자를 보낸 순간 이미 나는 그 도시에 도착해있었다. 허락된 시간은 충분하지 않았다. 적어도 내 욕심에는 그랬다. 그러나 충만했다. 커피를 마시고 밥을 먹고 다시 커피를 먹고 다시 길을 되돌아 집으로 오기까지 나는 내내 웃음을 지었고 피곤하지 않았다. 나의 오른발도 붓지 않았다. 그러니까 내 몸은 나를 알고 있었던 것이다. 내가 얼마나 기다렸던 하루였는지 말이다.

 

 언제나 그렇듯 이번에도 나 혼자 실컷 떠들었다. 그 날 밤에 생각해보니 묻고 싶은 이야기는 더 있었고, 듣고 싶은 이야기도 더 많았다. 그렇다고 우리가 나눈 이야기가 소중하지 않은 게 아니다. 한 마디, 한 마디가 내게는 보석같다. 불편할 수도 있었을 만남, 우리는(어쩌면 나만) 전혀 그렇지 않았다. 그래서 기뻤다. 그래서 즐거웠다. 고맙다는 말을 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좋았다는 말도 말이다. 더 자세한 단어로, 더 많은 문장으로 기록하고 싶은 마음도 크지만 여기까지만 쓰려고 한다. 왜냐하면 이제 더 자주 만날 것이고, 더 많이 서로를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나에게 새로운 11월을, 새로운 가을을 새겨준 이가 당신이라서 좋다.

 

 시집을 읽고 있고 두 권의 시집을 기다린다. 의도하지 않았는데 모두 창비의 시집들이다.  문성해의 입술을 건너간 이름에서 처음 마주한 시는 <결이라는 말>이란 제목의 시다.

 

 결이라는 말은

 살짝 묻어 있다는 말

 덧칠되어 있다는 말

 

 살결 밤결 물결은

 살이 밤이 물이

 살짝 곁을 내주었단 말

 와서 앉았다 가도 된단 말

 

 그리하여 나는

 살에도 밤에도 물에도 스밀수 있단 말

 쭈뼛거리는 내게 방석을 내주는 말

 

 곁을 가진 말들은

 고여 있기보단

 어딘가로 흐르는 중이고

 

 씨앗을 심어도 될 만큼

 그 말 속에

 진종일

 물기를 머금는 말

 

 바람결 잠결 꿈결이

 모두모두 그러한 말 

 - <입술을 건너간 이름, 50~51쪽>

 

 남아 있는 11월의 날들에 나는 내내 행복할 것이다. 결벽증처럼 대했던 11월에, 연두빛 애정의 싹이 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