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권은 밤에게 작가정신 소설락 小說樂 3
이신조 지음 / 작가정신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은 낮보다 화려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때문에 밤은 새로운 세상의 창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밤을 소유하며 즐길 수 있는 이는 많지 않다. 누군가는 밤에도 일을 해야 하고 누군가는 밤을 지켜야 하며 누군가는 밤의 그늘에 속해 숨어버린다. 소설 『우선권은 밤에게』의 스물 두 살의 주인공에게 밤은 거대한 안식처이자 불안의 공간이다.  

 

 주인공 나는, 미혼모였던 엄마 대신 외할아버지와 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엄마의 재혼으로 잠깐 아빠가 존재했지만 엄마의 죽음으로 다시 시골로 돌아왔다. 스물 두 살의 나는 서울의 어느 전문대 근처의 한 부동산에 근무한다. 할아버지와 할어니가 차례로 죽고 혼자 남은 나를 그가 서울로 불러들인 것이다. 죽은 엄마의 남편이었지만 이제는 더이상 계부가 아닌 전 계부가 운영하는 부동산에서 매물로 나온 집들을 원하는 이들에게 보여주는 일이다. 1년 넘게 편의점 음식으로 허기를 달래 뚱뚱해진 몸은 계절마다 같은 옷, 같은 신발로 지낸다.

 

 작은 읍에서 혼자 지낸 나에게 서울은 연극무대와 같았다. 나의 감정을 숨긴 채 다른 나로 사는 것이다. 누군가 남기고 간 먼지 가득한 살림살이, 당장이라도 들어와 살 수 있는 최신 유행의 원룸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며 사람들의 속내를 읽는다. 밤은 나에게 잠을 허락하지 않았다. 불면의 밤은 나의 모습이었는지도 모른다. 잠들지 못하는 밤, 나는 주인을 찾지 못한 집들을 청소하고 들의 이야기를 듣다 그곳에서 잠들기도 한다.

 

 누군가 나를 본다면, 나는 그저 하나의 검은 덩어리로 보일 것이다. 나는 그저 하나의 검은 덩어리로 보이는 커다란 검은 외투를 입고, 그 외투에 달린 커다란 검은 모자를 덮어 쓰고 밤의 거리를 걷는다. 커다란 주머니에는 언제나 편의점의 음식들. 그것들을 만지작거려 차갑거나 따뜻하거나 끈적이거나 가슬가슬한 손가락. 그저 하나의 검은 덩어리로 보이는 까닭인지, 밤의 거대한 반죽에서 떨어져 나온 한 점 부스러기로 보이는 때문인지, 반년쯤 이어진 밤의 산책길에서 내게 위협을 가해오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45쪽

 

 소설은 단조롭다. 나의 일상이 단조롭기 때문이다. 부동산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거나 편의점에서 사온 단 음식들으로 끼니를 때우고 밤이 되면 매물로 나온 빈 집을 기웃거린다. 부동산은 찾은 신입생에게 여러 집을 보여주면서 나는 그에게서 자신을 본다. 움츠러들고 두려운 모습을 숨기며 방어하는 자신을 말이다. 그러다 집을 구하러 온 쌍둥이 여사가 장독대집의 주인이 되고 그들이 운영하는 나이트룸을 만나면서 달라진다. 그 방에서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고 단 한 번도 내놓지 못한 상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었다. 그동안 혼자 외로웠던 시절에 대해 엄마에 대한 원망과 그리움에 대해서 말이다. 쌍둥이 여사가 드려주는 말은 가장 기본적인 삶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되는 대로 살아온 삶, 나를 돌보지 않고 살아온 이들에게 따끔하면서도 따뜻한 조언인 것이다.

 

 “사람은 잘 먹지 않고 잘 입지 않고 잘 자지 않아도 살 수 있지만, 잘 살 수는 없어요.” 159쪽

 

 서울의 밤이라는 공간은 얼마나 화려한가. 그러나 그곳의 삶이 모두 편안하지는 않을 터. 소설은 집을 보러 다니는 스물 두 살의 여자를 통해 밤을 견디는 다양한 사람들의 상처와 삶을 이야기 한다. 어둡고 깊은 밤이 지나야 밝고 환한 아침이 오듯 그 상처를 이겨내야 한다고 나즈막하게 말한다. 지친 육체와 영혼이 온전하게 쉴 수 있는 집이 없는 그들의 밤을 위로하고 달래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