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사물들 문학동네 시인선 23
이현승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김없이 여름은 자취를 감추고 그 자리에 슬그머니 가을이 왔다. 계절이 바뀌니 일상에도 작은 변화가 생긴다. 길었던 머리카락을 짧게 잘랐고 아침 저녁으로 뜨거운 밥을 먹기 시작했다. 찬 물에 말아 먹던 밥과 냉면을 생각하면 저절로 몸이 움츠러든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계절은 다른 이름으로 돌아오고 잊고 있던 그리움의 존재는 되살아난다. 이런 날들에 시를 읽는다는 건 위험한 일인지도 모른다. 시는 다분히 감정의 소모를 불러올 것이고 나 역시 친구처럼 누군가에 짙은 우울에서 나를 건져 달라고 문자를 보낼지도 모를 일이다. 변한 것은 아무 것도 없고 내게 속한 시간도, 주어진 시간이 늘었다거나 줄었다거나 하지 않는데 말이다. 그러니까 가을은 받고 싶지 않은 우울이라는 선물을 덥석 떠맡기는 것이다.

 

 가을이라서 엊그제는 <가을 단상>이란 제목의 시를 따라 읽었지만 이 시집에서 첫 번 째 읽은 시의 제목은 <에이프릴>이다. 그렇다. 여전히 나는 봄을 그리워하고 봄을 잊지 못하는 것이다. 다가올 봄이 아닌 내 몸에 문신처럼 남은 지난 봄의 날들을 말이다. 더이상 봄눈에 놀라지 않는 오늘을 살지만.

 

  <에이프릴>

 

 우는 아이를 안고 걸어오는 길이었습니다.

 비둘기 두 마리 고추장비빔밥맛 삼각김밥을 쪼아먹고 있

었습니다.

 너덜너덜 더이상 삼각형이 아닌 삼각김밥처럼

 피만 것인지 지다 만 것인지 목련나무가

 눈비 지나간 사월의 끝을 어루만지고 있었습니다.

 

 울 다 잠이 든 아이는 자다 깨어 다시 울고

 우리는 이 모든 것이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

 나뭇가지에 얹혔던 꽃도 눈도 갑작스런 찬바람도

 뜨겁게 달아오르는 이마와 불과 목과 겨드랑이도.

 

 꽃은 나뭇가지에서 피어나지만

 나무도 가 본 적 없는 세상으로 먼저 갑니다.

 공중에 잠깐 머물다 곤두박질치는 꽃잎들을

 나무는 돌멩이가 가라앉는 물속 보듯 바라봅니다.

 

 펄펄 끓는 아이를 품에 안고 돌아오며 보았습니다.

 아프지 말아라 목련나무야 벚나무야 비둘기야

 해열진통제 같은 사월의 눈이

 펄펄 끓는 벚나무 이마를 가만히 짚습니다. - 62쪽

 

 <비의 무게>

 

 분리수거된 쓰레기들 위로

 비가 내린다

 끼리끼리 또 함께

 비를 맞고 있다

 

 같은 시각

 옥수동엔 비가 오고

 압구정동엔 바람만 불듯이

 똑같이 비를 맞아도

 폐지들만 무거워진다

 

 같을 일을 다행도

 어쩐지 더 착잡한 축이 있다는 듯이

 처마 끝의 물줄기를

 주시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내리는 빗속에서

 더이상 젖지 않는 것들은

 이미 적은 것들이고

 젖은 것들만이

 비의 무게를 알 것이다 - 22쪽

 

 지난 봄, 나는 펄펄 끓는 열보다 더 뜨거운 아픔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어쩔 수 없다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내 감정의 한계를 경험하면서 아파했다. 두 번의 계절이 바뀌었지만 크기를 잴 수 없는 슬픔은 여기 저기 흩어졌을 뿐 사라지지 않는다. 해마다 봄을 맞이하면 우리는 또 각 자의 자리에서 소리없이 절규하고 통곡할 것이다. 비에 젖은 것들만이 비의 무게를 안다는 당연한 말이 왜 이리 절절하게 다가오는지 모르겠다.

 

 <눈물의 원료>

 

 우리는 언제나 두 번 놀란다

 한 번은 갑작스런 부고 때문에

 또 한 번은 너무나 완강한 영정 때문에

 

 다 탄 향의 재처럼 가뭇가뭇한 눈을 씻고

 우리는 산적과 편육과 장국으로 차려진 상을 받으며

 사나운 곡소리와 눈물을 만드는 재료에 대해 생각한다

 

 사람의 얼굴이란 웃는 표정과 우는 표정이 비슷하고

 가리는 울음과 드러내는 웃음이 반반 섞이고 나면

 알 수 없다 알 수 없이 망연하게 들여다볼 수밖에 없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호흡은 들숨일까 날숨일까

 마지막 날숨을 탄식이라고 볼 수 있을까

 들숨을 결심할 때의 그것으로 볼 수 있을까

 

 남의 밥그릇에 밥을 퍼줄 때만 우리는 잠시 초연해질 수

있다

 밥통을 열어젖힐 때의 훈김처럼 갑자기 나타났다가 사라

지는 것들을 본다 - 28쪽

 

 <친애하는 사물들>

 

 아파서 약 먹고 약 먹어서 아팠던 아버지는

 주삿바늘을 꽂고 소변주머니를 단 채 차가워졌는데

 따뜻한 피와 살의 영혼으로 지어진 몸은

 불타 재가 되어 날고 허공으로 스몄는데

 

 아버지의 구두를 신으면 아버지가 된 것 같고

 집 어귀며 책상이며 손 닿던 곳은 아버지의 손 같고

 구두며 옷가지며 몸에 지니던 것들은 아버지 같고

 내 눈물마저도 아버지의 것인 것 같다

 

 우리는 생긴 것도 기질도 입맛도 닮았는데

 정반대의 표정으로 서로를 마주본다

 포옹하는 사람처럼 서로의 뒤편을 바라보고 있다

 우리는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처럼

 무표정하게 서로를 비껴가버린 것이다 - 82쪽

 

 누구나 겪는 일이라고, 담담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소식들이 점점 늘어간다. 누군가의 발병, 누군가의 죽음, 누군가의 이별, 누군가의 실패나 좌절이 아무렇지 않은 현실이 되었다. 매 시각 뉴스는 잔혹한 뉴스를 전달하고 우리는 점점 소모되고 사라진다. 균일화된 눈물을 흘리거나 동일한 크기로 분노를 발산한다. 마치 이 모든 것이 당연한 삶의 공식인 것처럼 받아들이려 한다.

 

 <다정도 병인 양>

 

 왼손등에 난 상처가

 오른손의 존재를 일깨운다

 

 한 손으로 다른 손목을 쥐고

 병원으로 실려오는 자살기도자처럼

 우리는 두 개의 손을 가지고 있지

 

 주인공을 곤경에 빠뜨려놓고

 아직 끝이 아니라고 위로하는 소설가처럼

 삶은 늘 위로인지 경고인지 모를 손을 내민다

 

 시작해보나마나 뻔한 실패를 향해 걸어가는

 서른 두 살의 주인공에게도

 울분이지 서러움인지 모를 표정으로

 밤낮없이 꽃등을 내단 봄 나무에게도

 위로는 필요하다

 

 눈물과 콧물과 침을 섞으면서 오열할 구석이,

 엎드린 등을 쓸어줄 어둠이 필요하다

 왼손에게 오른손이 필요한 것처럼

 오른손에게 왼손이 필요한 것처럼 - 54쪽

 

 어떤 이들에게 가을은 아주 위험한 계절이다. 여름 내 단단하게 부여잡은 감정이 한 순간 무너져 내리는 가을, 처진 등을 보여도 될 누군가가 필요하다. 시를 읽으라는 권유는 잘못된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시라도 읽어야 뭉쳐진 가슴을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왼손을 잡아줄 오른손이 없는 이들에게, 오른손을 잡아줄 왼손이 없는 이들에게는 더더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