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1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큰 감동을 안겨주는 책이라 해도 어떤 시기에 읽느냐 따라 그 강도는 다르다. 언젠가 한 번은 읽지 않았던가 하는 착각마저 불러온 책,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가 내게 그랬다. 아마도 내가 학창시절에, 청춘이라 불리는 시절에 읽었더라면 이 책에 대해 그저 노인과 물고기의 사투라고만 말했을지도 모른다. 망망대해에서 이틀 동안 거대한 청새치를 잡는 노인을 통해 헤밍웨이의 진심은 커녕, 지루해하며 대충 대충 몇 장을 빨리 넘겼을지도 모른다. 그나마 어느 정도 우리 생에 무한한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가는 과정에 만났으니 이 얼마나 다행인가.

 

 『노인과 바다』는 웬만한 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투 끝에 잡은 물고기와 함께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상어의 공격을 받아 결국에 남은 건 대가리와 뼈 뿐이었다는 이야기다. 소설을 이끌어가는 건 제목 그대로 노인과 바다뿐이다. 노인을 이해하고 따르는 소년이 잠깐 등장하지만 소설의 중심엔 노인이 있다.

 

 84일 동안 바다에 나갔지만 물고기를 잡지 못한 산티아고, 그는 이제 더 이상 잘 나가는 어부가 아니다. 자신을 응원할 가족도 동료도 남아 있지 않다. 물론 그가 반드시 물고기를 잡아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다. 그러나 산티아고는 바다로 나갈 준비로 하루를 시작하고 마감한다. 그에게 바다는 삶의 전부이었고 그 자신이었던 것이다.

 

 소설에서 산티아고는 혼자다. 금방이라도 그를 삼킬 채비를 한 바다에서 그는 물고기를 기다린다. 많은 시간 혼자 보내며 터득한 그만의 방법이었을까. 먹을 것을 찾아 바다를 나는 새에게 말을 건넨다.  적막하고 고요한 시간, 그는 좋아하는 야구와 꿈에 본 아프리카를 떠올리며 아침마다 자신을 찾아주는 소년을 생각한다.

 

 마침내 미끼를 문 물고기, 그 힘이 대단하다. 그와 물고기의 힘겨운 사투가 시작된 것이다. 얼마나 긴 시간이 될지 그는 알지 못했을 것이다. 그저 물고기가 반가웠던 건 아닐까. 거대한 힘을 가진 물고기와 대결하는 일을, 알 수 없기에 나는 한 손과 등의 힘으로 낚싯줄을 버티고 있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상상조차 하지 못한다. 다만, 그에게 물고기가 갖는 의미를 알고 묻고 그 대답을 듣고 싶을 뿐이다. 

 

 언제나 매번 새로 처음 하는 일이었고, 그 일을 하고 있는 순간에는 과거를 결코 생각하지 않았다.’ p. 69

 

 언제나 매번 새로 처음 하는 일이라니, 이런 경지에 오르려면 얼마나 많은 날들을 더 살아야 할까. 죽을지도 모르면서 물고기와 대화를 나누며 혼잣말을 하는 밤, 배고픔에 몸을 옴짝달싹 할 수 조차 없는 순간에도 끈을 놓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끈을 끊어버리면 간단하게 끝났을지도 모른다. 줄에 쓸려 상처가 난 손과 먹이를 향해 달려드는 상어 떼와 싸우느라 녹초가 된 그에게서 나는 문득, 엄마를 본다. 그리고 생을 생각한다. 나도 곧 노인이 될 것이다. 엄마처럼 언젠가는 죽게 될 것이다. 나는 죽는 날까지 하루 하루를 성실하게 살아온 엄마처럼 남은 날들을 채워갈 수 있을까. 산티아고 노인처럼 빛나는 두 눈을 갖고 살아갈 수 있을까.바다가 존재하는 한 그는 아마도 매일매일 바다에 나갈 것이다. 물고기를 잡든 잡지 못하든 말이다.

 

 노인의 모든 것이 늙거나 낡아 있었다. 하지만 두 눈만은 그렇지 않았다. 바다와 똑같은 빛깔의 파란 두 눈은 여전히 생기와 불굴의 의지로 빛나고 있었다.’ p. 10

 

 이 책이 주는 감동은 한평생 고기를 잡아오며 살아온 그의 삶에서 묻어 나오는 감사는 아닐까. 투덜대기만 하는 삶, 뭔가 요행을 바라며 허황된 꿈을 꾸는 이들에게 하루 하루의 충만함을 왜 모르냐고 묻는 듯 하다. 대가의 힘이란 이런 것일까. 아무런 장치 없이 그저 노인의 단순한 행동과 말만으로도 이토록 강한 울림을 주다니.  

 

 ‘매일매일이 새로운 날인걸. 운이 있다면야 물론 더 좋겠지.’ p. 33

 

 똑같은 하루라고 생각했던 적이 얼마나 많았던가.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던 때는 얼마나 많았던가. 어제와 같은 오늘처럼 보여도 결코 똑같은 하루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자명한 사실을 깨닫게 된 건 불과 몇 년 전이다. 새로운 태양이 떠오르는 걸 마주할 수 있는 일상이 얼마나 감사한지 새삼 생각한다. 산티아고의 말처럼 운이 있다면야 좋겠지만, 운이 좋지 않다고 낙담하고 절망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또다시 새로운 날이 기다리고 있으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3-06 2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스가 남다른 책이에요. 이 책의 존재를 까먹고 있었는데 덕분에 독서 예비목록에 넣었습니다~. 고딩때는 줄거리만 듣고 대체 그런 허무한 소설은 왜 썼나 싶었었지요~ㅎㅎ

자목련 2012-03-07 20:23   좋아요 0 | URL
정말 대가의 포스란 이런 것이구나 했어요. 고교 시절에 읽었다면, 이 감동을 알지 못했겠지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