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이 사흘 남았다. 2011년도 사흘 남았다.  2012년에 대한 소망 리스트를 적으며 2011년에 바랐던 것들을 찾아 보았다. 내가 소망하는 것들은 작년이나 올해나 그리고 내년이나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건 큰 소망이 없다거나, 이루지 못할 소망을 갖고 있다거나, 뭐 그렇다. 여튼 소망이 있는 건 좋은 거니까.

 

 2010년에는 내 맘대로 좋은 한국소설이란 제목으로 책을 담았다. 어쩌면 당신이 지나쳤을지도 모를 한국소설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베스트셀러나 누구나 다 유명작가의 소설을 제외한 책들을 이야기할 것이다. 그러니까 당신이 지나쳤거나 몰랐거나 했을 소설이 맞을 것이다. 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정유정(7년의 밤), 편혜영(저녁의 구애), 구병모(아가미), 신경숙(모르는 여인들), 김이설(환영), 한강(희랍어 시간), 황석영(낯익은 세상), 한창훈(꽃의 나라)처럼 서점이나 언론에서 오르 내린 소설이 아닌 - (구병모, 신경숙, 한창훈의 소설은 읽지 못했다)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다.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다, 김숨의 간과 쓸개, 정용준의 가나, 윤영수의 귀가도, 김도언의 꺼져라, 비둘기, 윤보인의 , 김선재의 그녀가 보인다, 그리고 현재 읽고 있는 김미월의 아무도 펼쳐보지 않는 책이다.

 

 

 

 

 

 

 

 

 

 

 

 

 

 

 

 

 

 

 

 

 

 

 

 

 

 

 

 

 

 

 

 

 

 

 

 어떤 작가는 잘 알려진 작가이기도 하고 어떤 작가는 첫 책을 낸 작가이기도 하다. 그러니 그 이유로 주목 받았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한국소설을 좋아한다고 하면서도 올해엔 많이 읽지 못했다. 읽었지만 리뷰를 쓰지 못한 책도 있다. 여튼 나는 이런 책이 좋았다. 물론 위에 거론한 책들도 좋았다.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내가 특히 좋아하는 작가들은 위에도 있다.

 

 어떤 책은 슬픈 목소리로, 어떤 책은 유쾌한 목소리로, 어떤 책은 산뜻한 목소리로, 어떤 책은 따뜻한 목소리로, 어떤 책은 귀를 귀울여야들을 수 있는 낮은 목소리로 우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내가 접하지 못해 알지 못하는 좋은 소설도 많을 것이다. 내년엔 더 많은 이들과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