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스크로 가는 기차 (양장)
프리츠 오르트만 지음, 안병률 옮김, 최규석 그림 / 북인더갭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런 소설을 좋아한다. 그러니까 어떤 소설이냐하면 바로, 곰스크로 가는 기차같은 소설 말이다. 아, 정말 기분 좋은 소설이다. 무엇이 그리 기분 좋으냐고 묻는다면 꼬집어서 답을 할 수 없다. 그냥, 당신도 읽어보면 알게 될꺼 라고 답할 뿐이다. 누군가는 그럴 것이다. 이게 무슨 행복한 소설이냐고. 결말을 예측할 수 없는 이야기, 모호한 이야기, 작가가 뭘 말하려는지 알 수 없는 이야기뿐이지 않냐고. 바로, 그거다. 해서, 여운이 남는 소설이라는 점이다. 오래오래 기억되는 드라마의 한 장면처럼.  

 표제작 <곰스크로 가는 기차>는 단막극으로 방영된 적이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배우의 연기보다 <곰스크>로 가는 기차를 기다리는 젊은 두 남녀의 작은 논쟁과 그들이 살고 있는 그 시대와 공간에 매료되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곰스트는 과연 어디일까. 인상 깊게 남았는데 원작이 있었다니 얼마나 반가운 일인가. 곰스크의 실체와 마주할 수 있을까.
   
 <곰스크로 가는 기차>는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결혼식을 마친 신혼부부는 곰스크로 가는 기차에 올랐다. 아버지가 항상 말했던 곰스크는 남편에게 꼭 가야만 하는 곳이었다. 그곳에 무엇이 있는지 직접 확인해야 했다. 그러나 아내는 달랐다. 낯선 곳으로 가고 싶지 않았다. 불안했고 두려웠다. 잠시 기차가 잠시 정차하고 부부는 작은 마을에 내려 둘러본다. 시간이 갈수록 남편은 기차를 놓칠까 초초하나 아내는 작고 아름다운 마을에 반해버린다. 결국 기차를 놓치고 만다. 기차표는 몹시 비쌌고 돈을 구하려면 마을에 머물려 일을 하고 다시 기차를 기다려야 했다. 

 상심한 남편과 반대로 아내는 그 마을에 적응한다. 언제 떠날지 모르는데 방을 꾸미고 살림살이를 들인다. 그리고, 곰스크로 가는 기차가 도착했을 때 아내는 안락의자를 가지고 가겠다고 고집을 부린다. 표는 두 장밖에 없었고 안락의자에 대한 비용을 치뤄야 했다. 그제서야 알았다. 아내가 아이를 가졌던 것을 말이다. 누구나 예상하듯 그들은 곰스트로 가지 못했다. 아이를 낳고 그곳에서 정착하여 살았다. 그렇다고 남편이 곰스크를 잊었을까. 아니다, 남편의 마음은 언제나 곰스트로 가고 있었다.   

 오늘까지도 여전히 그것은 나를 사로잡는다. 곰스크로 가는 특급열차가 저 멀리 돌진하는 소리가 들리고 그 찢어지는 듯 슬픈 기적소리가 초원을 뚫고 울리다가 멀리 사라질 때면, 갑자기 뭔가 고통스러운 것이 솟구쳐 나는 쓸쓸한 심연의 가장자리에 놓인 것처럼 잠시 서 있곤 한다. p. 62

 곰스크는 무엇일까. 소설에서는 지명일 뿐이지만, 곰스크는 누구나 가슴속에 간직한 그 어떤 것이다. 그 때 그 시절 선택하지 못했던 실천하지 못했던 것들, 열정, 꿈, 사랑이다. 아쉽고 그립고 때로 고통을 안겨주는 것이다.  누군가는 아내 때문에 곰스트로 가지 못했다고 말할지 모른다. 아내에게 곰스크는 현실이었고 남편에게 곰스크는 이상이었던 것일까. 곰스트는 값비싼 댓가와 크나큰 희생을 감수해야만 도달할 수 있는 곳이리라.
 
 그 외 7편의 단편도 내 큰 설렘과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각자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간다고 믿고 배에 올랐지만 배가 확히 어디로 가는지 아무도 모르는 불안과 혼란이 가득한 <배는 북서쪽으로>는 마치 우리네 삶을 보는 듯하다. 분명 내가 정한 목표를 향해 가고 있지만, 누구도 잘 가고 있다고 말해주지 않는다. 오로지 목표만을 보고 달려오느라 주변을 둘러보지 못한 삶을 돌아보게 하는 짧은 단편 <두 시절의 만남>도 그러하다. 

 눈부시게 빛나던 청춘과 사랑을 담은 <붉은 부표 저편에>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애틋함을 만나는 <양귀비>를 읽다 보면 추억에 빠져든다. 순수했던 마음과 엄마에게 최선을 다하지 못했던 그 시절의 나로 돌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하니 과거로 사라질 현재를 잘 살아내야 한다는 다짐으로 돌아온다.  

 단단하면서 부드러운 소설이다. 뜨거운 열정을 차분한 문장으로 담았다. 자꾸 떠오르는 소설이 될 것이다. 잊고 있던 나의 곰스크를 생각할 때마다 가만히 열어 한 문장 한 문장 읽어내려 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