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마지막 날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시작으로 연일 내린 눈이 가득하다. 조금씩 녹고 있지만 또 눈 소식이 있다. 연말은 괜히 쓸쓸하다. 숫자에 불과한 날들인데, 어쩜 우리는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여하튼 한 해를 마무리하며 2010년 책 읽기를 돌아본다. 100권을 목표로 한 책읽기는 성공했다. 실은 몇 년째 100권 읽기다. 중요한 건 다양한 책읽기가 아니라는 점이다.  

 올해는 시집을 많이 읽지 못했다. 그러하니 리뷰를 쓰지 못한 건 당연하다. 욕심을 내서 시집을 구매했지만, 그저 곁에 있을 뿐이다. 그리고, 두 차례의 입원으로 책 읽기에 공백이 생겼다. 정확히 말하자면, 기록의 공백이다. 내게 리뷰 쓰기는 기억에 관한 것이다. 좋은 느낌으로 남은 책들, 구절들을 기억하지 못하기에 글로 남겨두는 것이다. 또한 모든 책을 소유하지 못하기에 기록은 중요한 일이다.  

 특히 아쉬운 건 정말 정말 좋았던 책에 대한 리뷰가 없다는 것이다. 6월~8월에 읽은 책들이 그러하다. 어떤 책이든 바로 쓰지 않고 게으름을 부리면 재독을 하기 전에는 끝내 쓰지 못한다. 입원하기 전에 만난 한강의 ><바람이 분다, 가라> 줌파 라히리의 <이름 뒤에 숨은 사랑>, 병원에서 만난 윤대녕의 <대설주의보>, 한지혜의 <미필적 고의에 대한 보고서>, 황석영의 <강남몽>, 퇴원 후 읽은 윤대녕의 <이 모든 극적인 순간>까지 그러하다. 

 나의 책읽기는 문학이 주를 이루었다. 한국문학을 좋아하는 내게 읽는 즐거움을 안겨준 소설이 많다. 황정은, 권여선, 김훈, 윤대녕, 강영숙, 윤성희,  김숨, 김이설, 박민규, 편혜영, 김영하, 등 정말
많다.  

 

 

 

 

 

 

 

 

 

 

 

 

 

 

 

 

 

 

   

 

  

 

 

 

 

  

 

   

 

 

  

 

 

  

 

 

 

 그 뒤를 이어 만난 책은 외국문학이다. <숨그네>, <이름 뒤에 숨은 사랑>, <어젯밤>, <가든 파티>, <1Q84>, < 렛미인>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산문집과 여행기도 있었다. 최윤필, 박완서, 서영은, 김도언, 박근영, 윤미나, 김연미, 전미정의 책들이 기억에 남는다.     

 

 

 

 

 

  

 

   

  

 

 

 

  

 

 

 

   

 

 

인문, 과학, 철학 분야는 올 해도 손에 꼽을 정도다. 매년 인문 분야와 시를 좀 더 읽겠다는 계획을 세우지만 실천은 제자리 걸음이다. 유아 서적인, 학습서나 동화책도 그러하다.    

 

 

 

 

  

 

 

   

  

 

 2011년에도 나는 책을 읽을 사고 책을 읽고 리뷰를 쓸 것이다. 책을 통해 얻는 즐거움과 위안을 알기에 책은 내 곁에 머무를 것이다. 내년에는 언제나 소망하듯 건강하면 좋겠다. 내 가족과 지인들, 내게 소중한 사람들이 아프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 리. 고 내가 바라는 일도 구체적으로 그림이 그려지기를 바란다. 

 모두 건강하고 평온한 새해 맞이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1-02 12: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1-03 06:3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