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사회, 예술 관련 책은 많이 읽지 못했다. 그에 비하면 여행기가 많이 보인다. 떠날 용기가 없는 난 책만 읽나 보다. 여하튼 기억에 남는 인상적인 책을 골라보면 이렇다. 우선 여행기로 번역하는 여자 윤미나의 『굴라쉬 브런치』는 곁에 두고 천천히 읽고 싶은 맛있는 책이다. 여행과 영화를 접목시킨 책으로 프라하와 카프카를 꿈꾸게 한다.
생각해보면 산다는 게 허기를 채우는 것과 다를 게 뭐냐 싶다. 여행을 하는 것도, 글을 쓰는 것도, 관계를 맺는 것도 결국은 서로 다른 종류의 허기를 채우는 일이 아니겠는가. p. 60
인문 사회 분야로 최근에 읽은 엄기호의『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은 20대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 하겠다. 내가 그네들과 말이 통하지 않는 세대에 속한다는 게 슬프다. 조카들과의 교감이 줄어들고 거리가 점점 커진다.
나는 이것이 수업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인간 됨이 쉽지 않음을 발견하는 것, 이보다 더 인문학적인 발견이 어디에 있겠는가. 내가 맞다고 생각하는 것이 그리 맞지 않으며, 내가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그리 쉽게 이야기할 수 없다는 발견(깨달음) 말이다.그래서 우리에게 판단과 심판의 언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성찰의 언어이다. 그리고 나는 내 말이 가진 무게를 깨닫도록 해주는 것이 수업이라고 믿는다. p. 263
안현신의『키스를 부르는 그림』은 키스를 주제한 그림 이야기다. 아름다운 그림을 보며 숨겨진 화가의 일상을 만날 수 있는 즐거움을 안겨주는 책이다. 다른 시리즈가 나온다면 만나고 싶다.
서로에게 녹아들어 하나의 덩어리로 일체화된 두 몽뚱이는 마치 하나의 짐승 같은 모습이다. 홀로 버티기 버거운 존재들이 서로의 경계를 강하게 침투해보지만 그 몸짓은 오히려 불안하고, 채워질 길 없는 사랑의 갈망은 고통스럽기만 하다. p. 99



정민 교수가 풀어 읽은 민세 안재홍 선생의 『백두산 등척기』을 읽으면서 백두산을 만나는 시간은 조금 울컥했다. 간결한 문장으로 묘사한 1930년대 풍경은 쓸쓸했고 아름다웠다. 쉽게 읽히지는 않았지만, 여러 번 읽어도 좋을 책이다.
여행은 한가한 일이 아니다. 높은 산에 오르고, 한바다에떠서 천지의 드넓은 기운을 마시면서 웅장하고 아득한 기상을 기르는 것은 그대로 세상에 필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하물며 도시와 시골, 산과 들에서 백성의 만물이 살아 숨 쉬는 실제 상황을 폭넓게 보고, 고금에 변해온 자취를 살피는 것은 사회인에게 가장 으뜸가는 책무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여행이 필요하고, 여행기도 가치가 있다. p. 5 - 서문 중에서
이야기꽃이 쓴 동화『신데렐라』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기존의 신데렐라가 아닌 토론을 위한 책이라 하겠다. 고학년 자녀를 두었다면 아이와 함께 읽고 의견을 교환해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