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가 지나고 나니, 아침 저녁으로 맨 살에 닿는 바람이 차다. 나를 지치게 했던 여름이 끝났다. 그렇다고 가을이 반가운 건 아니다. 계절이 바뀌면 해야 할 일들이 많다. 우선, 독감 예방, 옷장 정리, 이불 정리를 빨리 해야 한다. 태풍 곤파스가 남긴 뻥 둘린 베란다 창문은 어제 겨우 손을 보았고, 내일쯤 제대로 유리 창문이 들어올 것이다. 태풍 피해를 본 세대가 많았고, 유리 가게가 몇 개 안되는 작은 시골 마을에 사는 불편이라 할 수 있다.

 가을은 곧 겨울로 변해버릴 것이고 2011년을 알리는 달력도 곳곳에서 날라올 것이다.  아주 나쁜 건 아니다. 올 겨울엔 이사를 할 예정이라, 좀 기대가 되는 게 사실이다. 해서, 그 어떤 것도 들이면 안된다. 조금씩 내보내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 그나마 책은 들일 수 있어 몇 권의 책을 들여다 보는 중이다. (사고 싶은 예쁜 컵이랑, 그릇들을 장바구니에 가득 챙겨 놓았다. 구매 클릭을 누를 수 없지만, 실은 눌러서는 절대 안되는, ㅎㅎ)   

  

  

 

 

 

 

 

  
   

장석남의 시집, <빰에 서쪽을 빛내다>와 김중혁의 <좀비들>. 지금 좀비들을 읽고 있는 중이다.  <악기들의 도서관>과 <펭귄뉴스>를 먼저 읽어야 했다. 허나, 나와 인연이 닿은 책은 우선 좀비들인가 보다.  김중혁의 소설을 많이 읽지 못했지만, 그의 소설은 왠지 수학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머리 아프고 복잡한 수학이 아니라, 따뜻하고 포근한 느낌이다.

김도언의 산문집 <불안의 황홀>은 무척 궁금한 책이다. 좋아하는 이웃님이 올려주신 페이퍼 덕분에 김도언의 문학일기를 살짝 엿 볼 수 있었다. 궁금증은 더 커졌고 직접 만나는 일만 남았다. 그리고 권여선의 소설집 <내 정원의 붉은 열매> 제목도 좋다. <분홍 리본의 시절> 이후 기다렸던 소설집이다. 


 또 한 권의 헤르타 뮐러의 책<마음짐승>은 표지부터 슬픔이 느껴진다. 어렵겠지만, 그래도 끌리는 헤르타 뮐러.  

<육식 이야기>는 작가 김연수가 추천하는 소설이다. 좋아하는 작가가 추천하는 소설은 믿음이 간다. 내가 좋아하는 줌파 라히리도 김연수가 추천했다. 베르나르 키리니의 <육식 이야기>는 흥미로운 소설일 듯하다.

 

 

  

  

 유리는 아직 오지 않았고,  쌀쌀한 바람은 이미 와 버렸다. 유리가 오면 따뜻해 질 것이다. 9월이 가고 10월이 올 것이다. 어제가 아닌 오늘이 계속될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9-30 0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01 00:0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