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숨 장편소설
김숨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에 이어 이번엔, 이다. 두 번째 만나는 김숨의 장편소설이다. 머리카락을 연상시키는 물줄기가 집에서 흘러나오는 표지, 기묘한 이야기를 짐작할 수 있다. 물은 단순하게 말하자면 어머니(물), 아버지(불), 쌍둥이 자매(소금, 금), 막내딸(공기)로 구성된 가족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소설은 화자인 소금이 이혼을 하고 집으로 돌아오며 시작한다. 동시에 수족관이 들어오고 있다. 불인 아버지가 수족관을 깨부수고 집을 나가고 처음이다. 수족관은 딸들이 태어난 곳으로, 물에겐 소중한 공간이다. 소금을 시작으로, 기도원에 간 금과 공기, 소식이 없던 아버지 불까지 집으로 돌아온다. 

 물과 불은 그 물질이 상징하듯 결코 하나가 될 수 없다. 쌍둥이인 소금과 금의 관계도 수평이 아닌 수직적이다. 언제나 금이 우선이다. 공기만이 그들과 잘 지낼 수 있는 물질이다. 물, 불, 소금, 금, 공기는 상징적 이미지가 아닌, 물질이 갖는 고유한 특성이 곧 인물이다. 불과 소금을 소멸시키는 물, 소금을 만들고, 금을 변형시키는 불의 성질이 가족 간의 갈등, 욕망, 대립으로 드러난다. 

 소금인 나는 질량과 맛과 성분으로, 금은 빛과 질량과 순도로, 물인 어머니는 부피와 움직임과  상태로, 불인 아버지는 온도와 빛과 열로 끊임없이 스스로를 증명해 보인다. 무색무취할 뿐 아니라 아무런 맛도 지니지 못한 공기는, 움직임으로 스스로를 증명해 보인다. p  61

 물인 어머니 물은 얼음과 수증기의 상태를 오간다. 발작하듯 얼음이 되었다가, 저절로 다시 물로 돌아온다. 물로 존재할 때, 완벽한 어머니가 된다. 어려서부터 금을 질투한 소금은 멀리해야 할 물에 집착한다. 언제나 모두에게 사랑받은 금이 금을 낳기를 바라는 불은 금의 곁을 맴돈다. 공기는 종교에 집착한 생활을 한다. 

 어느 날 갑자기, 몇 방울의 물만 남긴 채 집 안의 물이 사라진다.  삼백만 톤의 물을 몰아내고 자신이 직접 지은 불은 막힌 수도배관을 찾기 시작하고, 집은 악취로 가득하다. 난쟁이인 수도 검침원은 엄청나게 밀린 수도세를 내라고 재촉하며, 물에 대한 경고를 한다. 은행은 불이 집을 지으며 진 빚으로 집을 경매하겠다고 통보한다. 배관공을 불렀지만, 막힌 수도배관을 찾을 수 없었다. 금은 배관공의 아이를 갖는다. 기이하게도 수도세는 점점 더 늘어난다. 얼음의 상태가 잦았던 물은 끝내 수족관에서 죽는다. 금은 금이 아닌 납을 낳고, 소금이 납을 키운다. 거대한 저택은 사막처럼 건조해지고, 사라졌던 물이 돌아온다. 문제는 언제나 그렇듯, ‘물’이었다

 한 방울의 물과 한 방울의 물은 서로를 끌어당긴다. 경계를 허물고 서로를 끌어당겨 한 방물의 오롯한 물이 된다.’ p 205

 <물>에서 보여준 관계는 분명 극적이나, 나를 잃지 않고 상대를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의 탐욕이 얼마나 부질없고 허망한 일인지 보여준다. <물>은 <철>과 비슷한 구조를 지녔으나, 더 확장되었다 볼 수 있다. 수도 검침원인 난쟁이는 <철>에 등장하는 곱추를 떠올린다. 난쟁이과 곱추는 유일하게 문제의 심각성을 찾아내는 인물이다. 그리하여 소설은 더 몽환적이고 잔혹하다. <철>에선 철이 가진 특성 하나만으로 소설을 전개하나, <물>에선 물을 시작으로 불, 소금, 물, 공기, 납까지 다양하고 복잡한 인물의 욕구를 담았다. 

 김숨의 반복적이고 짧은 문장은 여지없이 차갑고 건조하다. 거침없이 섬뜩한 묘사도 여전하다. <철>,<물>에 이어 김숨이 선택할 광물이 궁금하다. 얼마나 더 치밀하게, 기묘하게 그려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