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 - 김이설 소설집
김이설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웃음을 주기도 하고, 때로 분노와 슬픔을 준다. 아니, 어떤 소설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이미 그 결과가 결정되었다 할 수 있다. 그랬다. 첫 장편 <나쁜 피>로 만난 김이설은 즐거움과 행복보다는 아픔과 절망쪽에 가까웠다.  하여, 두 번째 소설이자 첫 번째 소설집에 대한 기대와 염려로 나뉠게 분명하다. 물론 나는 염려가 아닌 기대를 선택했고, 만족한다.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은 그녀가 소설로 담고 싶었던 삶에 대한 답을 주는 소설집이었다.  

 제목은 원래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 이었다고 한다.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이라니, 그렇다면 금기의 것들일까? 아니다. 모두가 알면서도 모른 척 묵인하고 외면하는 사회의 단면이었다. 알고 있다 하더라도, 소설이라 하더라도 이렇게 작정하고 살벌한 일상을 묘사한 문장을 읽어 내는 일은 힘겨운 것이었다.  

 구걸하는 엄마와 노숙자로 사는 소녀의 일상을 취재하듯 그려낸 <열 세살>, 열세살 소녀가 세상을 빨리 알아가는 건 당연한 일이다. 열세 살처럼 살고 싶었지만, 소녀는 미혼모가 되고 말았다.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가 떠나고 남겨진 가족과 살아가기 위해 대리모가 된 여대생<엄마들>, 간절하게 엄마가 되기를 원했지만 될 수 없는 여자와 필요에 의해 자궁에 아이를 키우는 여자의 이야기는 ‘엄마들’이라는 제목에서부터 묘한 감정이 전해졌다.

 바람난 엄마에게 버려진 고속도로 휴계소에서 만난 자신을 거둬준 남자를 아빠라 부르지만, 결국 그 남자의 아이를 낳는 여자<순애보>, 불로 인해 남편과 아이를 잃고 남편의 형과 기이한 동거를 하는 <아침처럼 고요히>는 차마 글로 옮길 수 조차 없을 정도로 끔찍하다. 거침없는 폭언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자신을 거둬준 사람을 거부할 수 없는 어린 소녀였고, 좀 더 잘 살려는 게 아니라, 최소의 생계를 위해 노래방 도우미를 해야 했다. 폭력에서 벗어나고 살아 남아야 했기에 선택한 일들이었다. 

 아니, 힘들었어. 하지만 힘들 수 없는 일 년이었다. 성과물을 받기 위해 소비된 시간이었으니까. 세상에 공짜는 없다. 그러니 공평하다. 공평하지 못한 건 그저 운명뿐이지 않은가. p 63 엄마들 중에서 

 암에 걸린 것도 억울한 일도 아니었다. 누구라도 걸릴 수 있는 병이니까. 나는 그저 무수한 암 환자 중에서 한 명일 뿐이었다. 내 평생에 아이가 없는 것도 불운일 뿐, 억울한 일이 아니라고 여겼다. 아니, 그렇게 자위해야 했다. p 105~106  환상통 중에서 

 아마 누군가는 묻고 싶을 것이다. 왜 엄마는 열세 살 소녀를 돌보지 않느냐고, 왜 여대생은 다른 일자리를 찾지 않느냐고, 왜 경찰서에 신고 하지 않느냐고. 그러면서도 우리는 이미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통해 그 답을 알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 모든 걸 다 갖춘 30대 주부의 감춰진 내면을 다룬 <하루>, 온라인 게임과 채팅을 하며 지내는 백수의 삶<손>은 전체적은 불안의 색은 같았으나 관계에 대해 생각케 했다. 나를 알아줄 누군가가 절실하게 필요한 온라인에 갖혀 사는 현대인의 씁쓸한 자화상을 보는 듯했다. 

 손을 한 번 더 잡고 싶었지만 그래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었다. 다시 잡게 되면 절대 놔주지 않을지 모른다. 나는 손에 집착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다. 손에 집착하고 있다면 손목을 잘라 손만 가지면 된다. 소유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중요한 건 소유가 아니라 존재 그 자체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것이 관계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다. p 183 손 중에서 

 김이설의 소설 속 인물은 모두 고단했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지쳐있었다. 절박했고,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살아내고 있었다.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는 것, 그게 그들의 방식이었고, 삶이었다. <열 세살>, <엄마들>,<순애보>,<환상통>, <아침처럼 고요히>, <막>, <하루>, <손> 8편의 화자는 <손>를 제외하고 모두 여자, 자궁을 가진 여자였다.  그 안에서 아내, 엄마, 딸인 여자들은 가혹한 피해자였다. 사회적으로 약자였지만, 모성을 가진 강자였다. 그리하여 더 단단했고, 더 굳건하게 버텨내고 있는지 모른다. 

 소설은 <나쁜 피>보다 훨씬 더 혹독했다. 그도 그럴것이 <나쁜 피>에서 화숙의 삶으로 대표되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 각각 단편의 삶은 최악의 최상이었다. 평범하고 소박한 가정과는 거리가 먼 가족들이었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시작된 균열로 가정은 붕괴되었고, 바로 우리 곁에 살고 있는 누군가의 이야기라는 사실에 가슴을 쓸어내린다. 

 살아가는 일이, 살아내는 일이 절망의 연속이라 하더라도 계속 살아내야 한다. 절망의 크기가 다를 뿐이다.  그러기에 그녀들은(아니, 우리들은)암에 걸렸어도, 버려졌어도, 스스로를 위로하며 살아간다.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 은 결국 너무 아파서 다시는 떠올리기 싫지만 모두가 알아야 할, 우리들의 삶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