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철'이라는 제목에서 단호함이 느껴진다. 김숨은 짧은 단편으로만 만났고 장편은 처음이다. 단편에서 좋은 느낌을 받았기에 기대가 컸다. 사실, 단편집 <투견>, <침대>에 대해 쉬이 읽혀지지 않는다는 평을 접했기에 살짝 긴장을 했지만, 소설은 나쁘지 않았다. 아니, 좋았다. 부드러운 카리스마라고 할까. 

 소설은 시골 마을에 조선소가 들어서면서 일어나는 일들을 조용하고 면밀하게 관찰하여 기록한다. 거대한 조선소는 작은 마을을 변화시킨다. 누군가는 발전이라고 할 것이다. 일자리가 생겼고, 경제적으로 안정을 주었다. 조선소에 다니는 아들, 남편을 둔 사람들은 모두에게 부러운 존재였다.  아이들이 자라 조선소에서 일하는 것을 꿈꿨다. 하여, 너도 나도 철선을 만드는 조선소에 취직을 하고 싶어했다. 다른 지방에 사는 사람들이 몰려왔고, 그 중에 ‘꼽추’도 있었다. 그러나 조선소는 그를 받아주지 않았다. 마을을 조선소에 다니는 푸른 작업복을 입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로 구분되었다. 

 조선소의 주인과 그곳에서 만들어지는 철선에 대해서 아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매일 같이 출근을 하는 사람들 조차 알지 못했다. 출근하여 돌아오지 못하는 사람이 생겼지만, 자신의 일이 아니었기에 무시했다.  마을엔 철로 가득했다. 철문, 무쇠 식칼, 무쇠 솥, 무쇠 가위, 쇠로 만든 관, 틀니까지 무쇠로 만들었고, 심지어 철을 약처럼 복용하는 사람도 늘어났다. 모두가 조선소를 신봉했으나, 단 한 사람꼽추’는 예외였다. 그는 자신을 무시한 조선소와 마을 사람들을 증오했고, 틀니를 팔아 돈을 모았다. 

 시간이 지나고, 철옹성과 같았던 조선소는 어느 순간 사람들을 쫓아냈고, 마을에서 쇠를 빼앗아간다. 조선소에서 폐병으로 병원에 감금되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조선소는 더이상 꿈이 아니었다.마을은 농사를 지을 수도 동물을 키울 수도 없게 되었다. 발전이라는 미명하에 파괴되는 지난날 우리 사회의 모습이었다. 

 김숨은 조선소라는 거대한 자본에 지배되는 삶을 자세하게 묘사했다. 노동에서 소외된 인물 ‘꼽추’가 그들을 상대로 돈을 모으고 집착하는, 조선소에 속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삶을 대조적으로 그렸다. 조선소에서 쫓겨난 아버지들을 통해 신성하다고 여겨졌던 노동이 한낱 소모품에 불과했음을 보여준다. 절대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조선소와 철선에 의해 마모되어 철저하게 버려지고 소외되는 삶. 

 아침부터 까끌까끌하고 불그스름한 먼지가 북쪽에서 불어와 마을을 휩쓸었다. 그 먼지는 공기 중으로 번져나갔다. 대낮에도 마을은 급작스럽게 불어 닥치니 먼지로 인해 초저녁처럼 어두웠다. 시큼하고 비릿한 쇠 냄새가 진동을 했지만 마을 사람들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녹(綠)일 거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아침저녁으로 녹을 한 숟가락씩 복용하는 늙은이들도 숨을 들이쉴 때마다 콧구멍으로 들어오는 것이 녹일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p 49

 김숨의 소설은 우리 이웃의 모습이자 나의 모습이었다. 우리의 삶은 여전하게 자본의 지배 속에 있다. 소설속 조선조는 또 다른 이름의 수많은 조선소로 여전하게 존재한다. 삶이 지속되는 한 노동도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과연, 철선을 보는 이는 누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