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아한 거짓말 ㅣ 창비청소년문학 22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김려령은 ‘완득이’와 같다. 그만큼 완득이의 인상은 강렬했다. 성장소설이 주는 감동, 그리고 웃음까지 안겨준 소설이었다. 조카를 시작으로 친구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했던 책이다. 그리고 다시 만난 김려령. 촌스러웠던 완득이와는 비교할 수 없는 제목과 몽환적인 표지다.
생일 선물로 MP3를 사달라고 조르던 딸이 죽었다. 그것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중학교 1학년 천지는 말썽한 번 부린적 없는 착한 딸, 착한 동생이었다. 무엇이 천지를 죽음에 이르게 했을까? 첫 장부터 웃게 했던 완득이와는 달랐다. 가슴이 답답해졌고, 천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지 빨리 알아야 했다. 마음이 급해졌고, 완득이를 만날 때처럼 단숨에 읽게 되었다.
천지의 아빠는 사고로 죽었고, 엄마는 생계를 위해 밤낮없이 바빴고, 자주 이사를 다녔다. 친한 친구를 만들라치면 또 이사를 갔다. 천지는 자신을 소개하는 게 정말 힘들었다. 그러나 그런 마음을 엄마에게도 언니 만지에게도 드러낸 적이 없었다. 만지는 천지의 친구 미라를 통해 화연이 계획적인 거짓말로 천지를 놀리고, 왕따를 시킨다는 말을 할 수 없었다. 왜, 그랬을까? 중학교 3학년 만지는 천지의 친구들에게 화연이의 이야기를 듣고, 화연이를 주시한다.
천지가 죽고 엄마는 이사를 했다. 딸을 가슴에 묻었지만, 살아야 했다. 산다는 것은 그랬다. 화연이가 사는 동네였다. 엄마도 화연이가 천지를 오랜 시간 괴롭히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화연이 참 못된 아이구나, 생각했다. 그러나 화연이도 상처가 있었다. 바쁜 부모님 때문에 항상 혼자였고, 진심으로 자신을 대하는 친구는 없었다. 그래도 천지가 그렇게 죽을 줄은 몰랐다. 그 뒤로 화연은 점점 외톨이가 되고, 방황하게 된다. 천지는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화연에게는 용서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 만지는 화연마저 잃고 싶지 않았다. 화연를 지켜보는 일이 천지가 바란 일이었는지 모른다.
김려령은 왕따에 대한 여러 시선을 담았다. 아이들의 고민을 도와주고 싶었던 선생님의 마음, 우리 사회에서 한부모 가정이 얼마나 힘들게 살고 있는지, 가정에서의 관심이 얼마나 중요한지, 근본적인 문제를 제시한다. 나의 어린 시절에도 따돌림은 있었다. 그러나 요즘처럼 심각하지 않았다. 커가면서 친구와 싸우고, 속상해하고, 화해하는 일도 많았다.
그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왕따는 어디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까. 똑같은 일이 일어나 지 않도록 아이들에게 세심한 관심과 애정을 쏟는 일, 맞벌이 부모의 자녀들을 돌봐주는 제도, 믿고 의지하며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학교가 되도록 다 같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문제가 없는 애의 문제는요?”
너 참 밉다.
그래도 용서를 하고 갈게. 나는 가도 너는 남을 테니까.
이제 다시는 그러지 말기를. 이제는 너도 힘들어하지 말기를
천지의 질문이, 천지가 남긴 유서가 머리속에 맴돈다. 김려령은 정말 재미있게 썼다. 술술술 읽히는 책, 그러나 가슴은 여전하게 답답하고 무겁다. 우리의 아이들에게 잘 내고 있냐고, 정말 잘 내고 있냐고 말을 걸어주는 어른인가, 묻게 된다. 표지에 고운 나비가 천지인 것 같아, 자꾸만 바라보고, 자꾸만 매만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