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무도하>를 읽었냐고 묻는다면, 그렇다 라고 대답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을 묻는 질문엔 이러하다 라고 말할 수 없을 듯 하다. 온라인에서 연재되는 동안에도 읽지 않았던 터라  ‘사랑아, 강을 건너지 마라’ 란 문구를 보고 진부한 사랑이야기는 아니더라도 사랑 이야기가 아닐까 짐작했으나, 소설은 그렇지 않았다. 김훈은 ‘나의 글은 강의 저편으로 건너가지 못하고 강의 이쪽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라고 말했다. 

 소설의 절반은 신문기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인공격인 문정수가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한 사건은 톱니바퀴처럼 서로 맞물려 돌아간다. 지방 소도시에서  일어난 노동운동, 환경문제로 시끄러운 해안 도시에서 크레인에 깔려 죽은 여고생 사건, 서울에서 한 소년이 자신이 기르던 개에게 물려 죽은 사건은 각각 다른 듯 보이지만 하나로 연결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모두 강의 저편이 아닌 강의 이쪽에 사는 사람들이었다. 많이 배우지 못하였고, 지탱해줄 배경이 없었고, 돈이 없었다. 그저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서 살아가고 있었다. 문정수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진실을 있는 그대로 기사화하지 못하는 사회의 구성원이었을 뿐이다.

 그런 문정수에게 위로가 되어주는 사람은  출판사에 다니는 노목희뿐이었다. 폭우로 인해  죽은 사체를 보고, 불구덩이의 현장을 기록하고, 시위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기사로 작성하고 하루를 마감하는 지친 육체와 영혼은 노목희만이 달래주었다. 죽은 소년이 그린 날개 달린 개의 그림, 죽은 딸의 보험금을 타고 고향을 떠난 아버지의 이야기, 연기로 가득한 화재현장에서 보석을 훔친 소방관의 이야기, 그들의 슬픔을 마주하며 답답했던 가슴을 쓸어 내려줄 따뜻한 손. 

 권력을 행하는 자들의 이기심, 자신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몸부림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나는 12월이면  2주년을 맞는 기름 유출 사건을 떠올렸다. 용서를 구해야 할 자는 강자라서 말이 없었다. 진실을 알고 싶었던 사람들은 힘이 없었다. 소설처럼 강의 저편의 윗선에선 자신들의 입장과 이익만이 최우선이었을 것이다. 이런 세상이 참 속상하고 화가 난다. 

소설엔  삶이란 이런 게 아닐까 싶은 구절이 있었다. 문정수와 노목희가 나누는 대화.

-국물이 달구나.
-달걀을 풀어야 해. 파만 넣으면 단맛이 뒤가 날카로워.
-달걀을 넣으면 어떤데?
-달걀이 들어가면 날카로운 게 포근해져. 둥글어지지.
-그래? 거참······ 그렇겠구나. 그렇겠어. 맛이 둥글다.
-파는 달걀과 잘 어울려. 뜨거운 국물 속에 달걀이 파맛을 끌어당겨서 달래는 것 같아.
-넌 국물 속 일을 알 수가 있니?   p 215


 날카로운 파도 포근한 달걀도 국물 속에서는 하나가 되는, 그런 둥글어지는 국물처럼 우리 세상도 그랬으면 좋겠다는 엉뚱한 나의 생각. 이 대화를  몇 번 더  읽었다. 그러면서 서글펐다. 함께 사는 사회, 모두 잘 사는 사회, 어울려 사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목소리들, 그들은 지금 어디서  무얼 하고 있을까. 자신들이 사는 강 쪽이 무너질까, 전전긍긍하지 않으면 다행이겠지 싶다.

 김훈은 <바다의 기별>이라는 에세이로 처음 만났다. 그리고 <화장>을 읽었고, <언니의 폐경>은 드라마를 통해 보았다. 소설도 드라마도 무척 인상적이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공무도하>를 읽으면서 베트남에서 시집온 후에, 개에 물려 죽은 소년의 어머니, 오금자에게서 내내  김훈의 인물을 연기하던 정애리의 마른 눈빛이 따라다녔다.

 김훈은 이 소설을 쓰면서 자신의 지난 삶과 어떻게 조우했을지 궁금하다.  내가 소설에서 느낀 그 이상으로 서글퍼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