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원의 도시들
코맥 매카시 지음, 김시현 옮김 / 민음사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의 끝에서 살아남은 부자의 긴 여정을 통해 인류의 마지막 희망은 무엇인가, 질문을 던졌던 소설 <로드>로 코맥 매카시를 처음 만났다. 무척 힘들게 읽었고, 난해했기에  타자의 호평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럼에도 알 수 없는 여운이 남았던 터라 후에 <핏빛 자오선>에 이어 <평원의 도시들>까지 만나게 되었다. 다행스럽게도 코맥 매카시의 국경 3부작의 마지막인 이 소설은 힘들지 않게 읽었다. 

 멕시코와  강 하나를 사이에 둔 미국 서부 국경지대. 국경 3부작 전작의 주인공 존과 빌은 목장에서 카우보이로 일한다. 동생을 잃은 빌리는 존을 동생처럼 아끼고 사랑한다. 그러다 존은 강을 건너 창녀촌에서 막달레나라는 한 소녀를 만나게 되고 첫 눈에 반한다. 존은 소녀를 창녀촌에서 탈출시켜 결혼하기로 마음 먹는다. 그러나 빌리를 비롯해 목장의 동료들은 모두 극구 반대한다. 창녀촌에서 막달레나를 빼내 국경을 건너는 일은 죽음을 각오해야 할 위험이 따르기 때문이다.

 강을 건너 소녀를 만나러 가는 존의 행복한 표정을 생각한다.  막달레나가 어떤 여자인가는 중요하지 않았다. 둘이 함께 살 집을 손보고, 살림살이를 장만하는 일만으로도 마음이 벅찼다. 할아버지가 남겨준 총을 전당포에 맡기고, 애지중지하던 자신의  말을 팔아 돈을 구해  오직 소녀를 데려오는 일만이 중요했을 뿐이다. 막달레나 역시 존을 사랑했고, 결혼을 결심한다. 그리하여 존이 세운 계획에 동의한다. 그러나 존을 향한 막달레나의 사랑은 창년촌의 포주로 인해 죽음으로 끝나고 만다. 종이 인형처럼 누워있는 막달레나의 영혼을 확인하자 존은 포주 앞에 선다. 광기보다 더 지독한 존의 분노는 포주를 향해 칼를 던지고, 칼에 찔려 온 몸이 피투성이가 된 존은 빌리를 찾고, 죽음을 맞이한다.

 소설은 존과 막달레나의 애절한 사랑을 중심으로 목장에서의 일상이 크게 그려진다. 전쟁에서 살아남은 자,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자, 가족을 잃고 그리움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서로를 위하며 살고 있다. 말을 타고 소를 몰며 달리는 카우보이들의 끈끈한 우정과 삶. 가도 가도 끝이 없는 벌판, 그 위를 달리는 카우보이의 함성이 들리는 듯 편의 서부 영화를 만나는 기분이다.  존이 죽고, 여기 저기 떠도는 빌리. 에필로그에서 빌리는 한 여행자를 만나고 많은 대화를 나눈다. 마지막 그 부분은 마치 신과 인간 삶과 죽음에 대해 나누는 대화와 같았다.  

 ‘우리는 그저 하느님이 창조한 세계를 불러올 뿐입니다. 그토록 애지중지하는 우리 인생 역시 마찬가지요. 하지만 우리는 이야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는 애초에 무에서 빚어지고, 우리 모두는 달라졌을 수도 있는 삶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런 것은 없기에 헛소리에 지나지 않죠. 삶은 무엇으로 만들어질까요? 어디에 감추어져 있을까요? 혹은 어떻게 생겨날까요? 현실은 확률은 100퍼센트죠. 우리가 삶을 미리 추측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도 확실합니다. 다른 역사를 상상하는 것은 무의미하죠.’ p 397

 존이 막달레나와 자신의 죽음을 추측할 수 없었기에 결혼과 행복한 삶을 꿈꾸었듯 빌리도 자신의 앞 날을 모른 채 넓은 서부를 가로지르며 계속 말을 달리는 것이 아닐까. 긴 밤을 지나 새벽이 오고,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과 마주하는 그 벅찬 감동이랄까. 점점 더 코맥 매카시의 매력에 빠져든다. 기회가 되면 다른 책들도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