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실 비치에서
이언 매큐언 지음, 우달임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랑이라는 감정은 모든 것을 포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랑의 시작은 모든 허물을 덮을 수 있는 마음을 키우지만, 정작 헤어짐에 다다르면 티끌만한 잘못도 거대한 들보처럼 보이는 게 사람의 마음이다. 갓 결혼한 신혼부부는 주변까지도 환하게 밝혀준다. 그들을 바라보는 이들도 흐뭇함으로 미소 짓고, 당사자들도 행복 그 이상을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가 된다. 아름다운 밤을 보내야 할 그들, 왜 서로를 힐난하며 이별을 맞이했을까. 매번 사랑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선보이는 이언 매큐언의 소설 <체실 비치에서>는 사랑을 시작하는, 결혼을 결심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조언을 해 줄 책이 분명했다. 

 ‘그들은 젊고 잘 교육받은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둘 다 첫날밤인 지금까지 순결을 지키고 있었다.’ 소설의 첫 문장, 독자는 첫날밤에 대한 호기심과 기대를 갖고 지켜보게 된다.  모든 것이 두렵고 떨리기만 한 플로렌스와 에드워드. 그들은 오랜 시간 만나왔고, 결혼하기에 이르렀다. 자유 연애 시대가 아닌 1960년대, 첫날밤은 떨림 그 이상이었다. 

 연인시절, 에드워드폴로렌스를 모든 면에서 배려해주었다고 믿었다. 바이올린을 전공하는 그녀 위해 난해한 고전음악을 이해하려 했고, 육체적 욕망도 절재했다고 믿었다. 플로렌스도 원하지 않았지만 에드워드가 하는 키스를 참아주었고, 아버지의 직장에 취직까지 시켜주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서로의 진심을 모른 채 그들은 무겁고 지루한 첫날밤을 견뎌내고 있었다. 성에 대한 지식이 없었기에, 그들은 서로 혼란스럽다. 의지와 상관없이 흥분하는 자신의 육체와 다가오는 상대의 손길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라 허둥댄다.  결국 플로렌스는 방을 뛰쳐나가고 에드워드는 자신이 뭘 잘못했는지도 모른 채 모멸감을 느낀다. 

 잔잔한 은빛 물결이 보이는 자갈밭, 서로의 미래를 이야기 할 곳이었던 장소에서 젊은 신혼부부의 치열한 싸움이 시작된다. 마음과는 다르게 엉뚱한 말이 튀어나온다. 아내에게 불감증이며 석녀라는 표현을, 남편에서 자유롭게 사랑해도 된다니, 이제 갓 결혼한 부부라면 절대 해서는 안되는 말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미 주워담을 수 없는 말을 쏟아놓고 말았다. 

‘한 사람의 인생 전체가 그렇게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말이다. 체실 비치에서 그는 큰 소리로 플로렌스를 부를 수도 있었고, 그녀의 뒤를 따라갈 수도 있었다. 그는 몰랐다. 아니, 알려고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p 197 

 이십대 초반인 그들은 너무 어렸다.그들은 결혼을 통해 독립을 꿈꿨던 것이다. 정신질환을  앓는 어머니가 있는 집, 엄격한 통제가 있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원했다. 둘은 진심으로 사랑했지만, 서로에게 가는 길을 알지 못했던 것이다.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을 더 가졌다면, 아름다운 체실 비치에서 플로렌스가 연주하는 모짜트르를 들었을 텐데, 하는 엉뚱한 아쉬움이 남는다. 

 이언 매큐언은 언제나 달랐다.  <첫사랑, 마지막 의식>, <이런 사랑>처럼 그의 소설은 생각지 못한 사랑에 대해 생각을 할 수 있어 좋다. 사랑으로 기인되는 모든 감정 변화와 내면의 갈등을 묘사하는데 탁월한다. 과감하고 적나라한 묘사도 그의 손에는 아름다운 꽃으로 핀다.  그래서 나는 이언 매큐언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