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펜이 칼보다 강하다는 말은 얼마나 큰 위력을 가지고 있을까. 권력과 부가 언론을 장악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진실을 은폐하고도 천연덕스럽게 세상을  향해 웃는 이들에게 분노를 느낀다. 그러나, 분노하는 이는 분노할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다.  온라인 연재로 뜨거웠던 소설, 단 한번도 클릭하지 않았기에 <도가니>가 더 기대되었다. 
 
 소설은 몇 년전 장애인 학교에서 벌어진 성폭행 사건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모든 이의 기억에서 사라진 사건이 다시 세상을 뜨겁게 달군다.  무진이라는 안개로 대표되는 소도시의 청각장애학교 자애학원에 기간제 교사로 오게 된 강인호와 무진 인권단체에서 일하고 있는 서유진이 중심이 되어 이끌어 나간다. 일반적인 상식을 갖고 수화를 배워 학교에 도착한 강인호는 안개보다 더 짙은 냉소를 느낀다. 소리가 없는 학교, 아이들은 무표정하다. 

 강인호는 사업에 실패하고, 청탁으로 얻은 자리지만, 교사로써의 책임을 다하려 한다. 그러나 곧 학교라는 이름뿐인, 추악한 재단의 실체를 만난다. 교장에게 성폭행을 당한 연두의 진술을 시작으로 행정실장, 생활지도사들이 어리고 약한 학생들을 유린한 사실을 알게 된다. 대학 선배인 서유진이 경찰에 수사를 요청하지만, 소도시의 경찰서는 이미 자애학원의 그늘에 있었다. 그랬다, 무진의 안개처럼 자애학원이 쳐 놓은 거미줄에 기관이 얽히고 설켜 있었다. 

 강인호와 서유진은 언론의 힘을 이용하려 한다. 통역사를 동원해 연두를 비롯한 아이들의 진술을 녹취하고 세상에 공개한다. 그들도 안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었다는 것을,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이 아이들에게 또 한 번의 상처를 준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다. 세상은 들썩였고, 진실이 정의가 실현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자애학원의 힘은 변호사와 판사에게도 영향력을 미쳤다. 가난하여, 학교를 믿었기에 아이들을 맡겨 놓고 생계를 이어갔던 아이들의 부모에게도 손을 뻗쳤다. 미성년이라는 이유로 돈을 풀어 합의하게 종용하고 만다. 

 법정에 아이들이 서고, 소리 없는 진실이 법정에 울려퍼진다.  더 이상 읽어나갈 수 없었다.  우리는, 연두의 엄마처럼, 아이를 법정에 세울 수 있을까, 서유진처럼 그들을 위해 세상과 싸울 수 있을까. 강인호처럼 그 아이들을 보듬어 줄 수 있을까. 그저 흘러내리는 눈물을 닦아내고만 있었다. 예상했던 것 처럼 법 역시도 권력에 무너지고, 아이들은 소리 대신 온 몸으로 농성을 시작한다. 서유진은 그 자리를 끝까지 지켰지만, 강인호는 서울에서 온 아내와 딸과 함께 안개 속 무진을 벗어난다. 

 누구도 강인호에게 손가락질 할 수 없다. 그저 평범하게 한 가정의 가장으로 살고 싶었으리라. 무진에 오지 않았다면, 연두같은 아이들도 아픈 아이를 데리고 혼자의 몸으로 인권 운동을 하는 서유진과도 만나지 않았으리라.  인권이 유린되고, 무자비한 폭력이 행해지는 그곳에 있었다 해도 강인호처럼 그들의 편에 설 사람은 많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안개로 가득한 무진은 결국 우리가 사는 사회의 자화상이었다.  ‘선생님들은 늘 한쪽 눈으로는 우리를, 다른 쪽 눈으로는 다른 곳을 바라보시는 것 같았거든요. ’p 170  연두가 쓴 편지는 사회 모든 구성원의 모습이었다. 가려진 그곳에서 진실은 외면되고, 강한 자는 약한 자를 짓밟는다. 우리의 이기심은 가려진 그곳을 알고 싶어하지 않고, 가고 싶어하지 않는다.  누구나 약자가 될 수 있음에 두려웠다. 아니, 이미 약자이기에 세상이 무서워졌다. 그러나 분명 가려진 안개를 걷는 이가 있음을 알기에 힘이 났다. 

  “난 그들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고 싸우는 거예요. ” p 257

 서유진의 말은 우리 모두의 외침이 되어야 한다는 공지영의 목소리였다.  작가 공지영은 작가 이상의 영향력을 가졌다는 것을 확신한다. 만약, 공지영이라는  작가가 아니었다면, 같은 내용을 담은 소설이라도 그 열기를 이어가지 못했을 것이다. 그녀는 또 얼마나 울었을까, 얼마나 다짐했을까, 이런 소설을 써줘서 고맙다. 고통을 이겨내며 안개 가득한 세상의 선두가 되어줘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