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문장
김유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유진의 소설은 섬뜩했다. 몇 번의 멈춤을 갖게 했고 숨을 고르게 했다. 그러나 신선했다. 어디서 이런 놀랍고도 실험적인 소재를 얻었을까 궁금했다. 첫번째 희생자는 세 명의 여자아이였다.  단편 늑대의 문장의 시작이며 이 소설집을 시작하는 문장은 이 소설을 예고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나는 편혜영의사육장쪽으로』, 백가흠의조대리의 트렁크』를 떠올렸다. 조금은 엽기적이며 조금은 끔찍한 일상을 만나게 되지나 않을까 생각했다. 그러나 김유진은 조금 강한 바람이 아닌 폭풍 그 자체였다. 맞다, 폭풍이었다.

 표제작 「늑대의 문장」은 이유도 없이 폭사(爆死)가 발생한 작은 섬 마을의 이야기다. 소녀는 사방에 둘러싼 죽음을 마주하며 두려워하지 않는다. 존재감 없는모와 극악스런 엄마. 전염병처럼 번지는 죽음. 무엇으로 인해 폭발이 시작되는지 아무도 알 수 없다. 죽거나 불구가 된 사람들이 가득한 섬은 자연스레 고립되고 언제부턴가 사람들은 폭사의 원인을 들개에게로 돌렸다. 자신들이 돌보았던 개들이 생명을 위험하는 늑대로 전락되고 말았다. 아버지를 잃은 소녀의 엄마는 극도로 난폭해졌고 개들을 죽이기 시작한다. 말리는 이모는 폭발했지만 죽지 않았다. 섬은 늑대와의 전생을 선포한 듯 하다. 잔인하고 엽기적인 단어가 갖는 그 이상으로 끔찍스러운 소설이다. 폭사로 난자당한 시체들, 죽음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그 안에서 김유진은 놀랍도록 조용하고 차분한 이모를 그려냈다. 

 <이모의 방은 햇빛이 거의 들지 않았다. 사면에 커튼이 쳐져 있는 방 안에는 가기 다른 천들이 천장에서 바닥까지 늘어져 있었다. 미로 같은 천들을 다 걷어내고 나면 한쪽 구석에 바느질을 위한 작은 공간이 나왔다. 바느질은 전적으로 이모의 손으로 이뤄졌다. 재봉틀도 없었다. 수많은 바늘들, 두껍고 얇고 밝고 어두운 천들이 방을 겹겹이 둘러싸고 있었다. 이모는 그 속에서 누에고치처럼 실을 뽑아내었다. >p 19

 이제 「마녀」를 볼까. 엄마의 발목이 돌아왔다. 로 시작된다. 발목이 돌아오다니 이 소설은 또 얼마나 괴기스러울까. 나무를 돌보고 버섯을 타며 산다. 돌풍이 작은 마을에 온전한 집은 화자의 집뿐이다. 거대한 나무뿌리가 집을 지탱해주는 이유로 나와 아버지를 나무를 돌본다. 아버지의 사랑을 원했지만 외로워하던 엄마는 자살을 선택했다. 아름다운 엄마를 닮고 싶었지만 화자인 나는 짧은 목과 넓은 어깨를 가졌다. 몸 대신 검은 곱슬머리만 자라는 동생은 엄마의 아름다움과 우울함까지 닮았다. 나는 끊임없이 악몽을 꾸고 매일 기록한다. 환상처럼 사라진 것들을 보는 동생은 돌풍에게 엄마라는 이름을 붙인다. 발목으로 돌아온 엄마, 풍파에 찌든 노인같은 모습의 나, 긴 머리의 허약한 동생 중 진짜 마녀는 누구일까?

「목소리」는 지극히 몽환적이다. 늑대의 문장처럼 여기에도 죽음이 있다. 늑대 대신 이번엔 물이다. 마을과는 격리된 삶을 사는 듯한 소녀와 언니. 오래된 간장과 밥을 먹고 산다. 나는 마을을 돌아다니며 본 이야기를, 백발은 가진 언니는 내가 알지 못하는 세상 이야기를 들려준다. 진짜 그들은 마녀, 마귀같다.  ‘등’을 만드는 남자가 저수지속으로 사라졌다. 그가 별로 간 것이라고 믿는 언니는 서서히 입덧을 한다. 어느 날 폭우가 내리고 집들은 물 속으로 잠기지만 언니와 나는 집을 떠나지 않는다. 단편 마녀에서와 마찬가지로.

  세 편외에 다른 소설들, 지진이 나던 날 태어난 괴기한 형상( 붉은 한 팔을 가졌고, 겨드랑이와 팔 안쪽에 수포가 퍼진)아이의 이야기 「움」, 길을 잃고 골목을 헤매다 잔반 수거를 하며 사는 노인과 아들과 함께 살게 된 아이의 눈에 비친 골목을 그린 「골목의 아이」 등 나머지 소설도 모두 읽어내기가 쉽지 않다. 아니, 쉽지 않은 정도를 너머 고통스럽고 낯설다.

 소설책이 나온다고 어머니에게 자랑스럽게 말하는 작가 김유진의 미소는 아마도 책날개의 그것보다 더 밝았을 것이다. 이처럼 유쾌한 미소를 가진 작가가 어쩜 이렇게 그로테스크한 묘사가 가득한 소설을 섰을까? 그 답을 다음 소설집에서 만날 수 있을 꺼란 기대를 해도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