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신이 읽는 젊은 작가들
박범신 엮음 / 문학동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을 사랑하는 이라면, 기실 작가가 소설을 통해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한다. 몇 몇 인기 작가의 인기는 소위 잘 나가는 연예인에 버금간다. 독자는 글을 통해 작가의 일상, 인간적인 모습을 궁금해한다. 그리하여 좋아하는 작가를 더 알고 싶어하며 더 가까운 관계를 맺기를 꿈꾼다. 이런 독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책이 있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바로, 박범신이라는 대작가가 신예 작가와 그들을 사랑하는 독자와의 만남을  엮은 책, <박범신이 읽는 젊은 작가들>이다. 
 
 한국문학예술위원회가 주최한 ‘금요일의 문학이야기’에서 박범신은 10명의 젊은 작가들(이기호, 심윤경, 백가흠, 오현종, 손홍규, 이신조, 김도연, 김종광, 김종은, 김도언, 김 숨, 박성원)과의 만남의 시작을 이렇게 열었다.

 
문학의 원천적인 힘이 그거예요. 우선 작가 자신을 견고하게 구원할 수 있고, 자신을 구원함으로써, 본인은 부정할지 모르지만, 독자의 구원에도 음으로 양으로 관계맺게 되는 힘이 바로 문학의 힘인 거예요. 그것이 꼭 양적으로 많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p18 박범신

 참여한 작가들 중에는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작가, 생경한 이름의 작가, 이름은 익숙하지만 작품을 만나보지 못한 작가도 있었다. 지정한 책을 읽고 독후감을 발표하고, 질의를 통해 작가의 답변을 듣는 형식으로 금요일 저녁 문학을 사랑하는 이들의 열기가 책을 뚫고 나올 정도로 책에서 그들의 뜨거운 열정이 느껴졌다. 

 독자는 다양한 소설을 읽으면서 나 아닌 다른 삶을 발견하기도 하고, 허구라지만 소설에서 만난 캐릭터를 주변에서 만나기도 한다. 하여, 작가가 왜 그런 캐릭터를 만들었는지 궁금해하며 작가의 생각을 듣고 싶어한다. 실제 뉴스를 통해 이미 잘 아려진 사건을 소재로 쓴 백가흠의 <배꽃이 지고>에 대해 폭력에 길들여진 과수원댁이 소설속에서 도와달라고 청해야지 않냐고 묻자 백가흠실제로 도움을 청하고 있지요. 그런데 누가 도와주고 있나요?  p97 시니컬하게 답한다. 백가흠은 자신의 문학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문학을 가지고 뭘 하고 싶은 생각도 없고요, 또 문학을 통해서 뭐가 되고 싶다는 생각도 저는 없습니다. 문학에 있어서 주인공이 되고 싶지도 않고요. 그냥 쓰는 거죠. 내가 써야 되니까. 독자들에게 어떤 글을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도 아직은 별로 없고요, 아직까지는 나를 위해서 글을 쓰고 있어요. 그게 나쁘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그냥 작없을 계속할 거구요, 또 문학권력에 대해서는 그런게 있는지 없는지 관심이 가지 않아요. 저하고는 별로 상관이 없는 얘기처럼 들리기 때문이기도 할 거예요. p100 백가흠

 작가 김 숨은 소설을 쓰는 사람들에게 자기만의 색을 찾으라는 말을 남겼다.  내가 잘 쓸 수 있는 소설이 무엇인가, 나에게 맞는 소설이 무엇인가를 찾는 게 저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요. 그걸 찾기 위해서 남의 소설도 읽는 거고 끊임없이 습작을 하는 거고, 저도 그 과정에 있다고 생각하고요, 여러분도 만약에 글을 쓰신다면 그걸 중요하게 생각하시고 다른 작품 읽을 때도 그걸 모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는 어떻게 남과 다르게, 남에게 맞는 나만의 글쓰기를 할 것인가 이 부분을 많이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p246 김 숨 선배 작가들의 말에 귀를 세우고 있을 소설가 지망생들의 반짝이는 눈이 그려진다.

 이 책의 또 다른 즐거움은 소설가가 읽는 소설가를 만나는 것이다. 바로 박범신을 통해 듣는 작품 해설에 있다. 이제 소설가의 이름을 갖고 한 권, 두 권의 책을 낸 작가들에게 30년 이상 글을 써온 작가 박범신의 눈에 비친 작가들의 모습은 어떠할까. 놀라운 소재, 대단한 필력을 가진 젊은 작가들을 칭찬하지고 했지만, 살짝 아쉬움도 비쳤다.

 
내가 젊은 작가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의 하나는,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절실한 상처들에 대해서 소설을 통해서 정직하게 진술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는 거예요. 나는 자기 삶에 대한 어떤 반응이 문학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니까, 어떤 의미에서 볼 때에는, 지금 삼십대의 젊은 작가들은 그런 반응으로부터 좋게 보면 어떤 갭을 두는 것처럼 보이고, 나쁘게 말하자면 부정직하다, 이게 내 독후감 중의 하나였어요. p272 박범신

 출판 기념회나, 낭독회를 통해 작가와의 만남이 활발해졌지만 여전하게 먼 이야기다. 하여, 내게 이 책은 무척 소중한 책이다. 문학이라는 길에 첫 발자국을 남긴 작가들의 다양한 생각들을 만날 수 있었다. 생경한 이름의 작가들의 책이 점점 궁금해진다. 그들의 책을 만날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가슴이 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