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파트릭 모디아노 지음, 김화영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타인의 삶을 관찰하고 수집하는 남자, 정작 그는 자신이 누구인지 모른다. 그에게 속한 이름, 그것은 진짜가 아니다.  그가 살고 있는 삶은 알맹이는 사라진 껍데기가 아닐까 허무함만이 가득하다. 8년 동안 자신의 존재를 새로이 만들어 준 탐정 소장이 떠나고 홀로 남은 그는 이제 자신을 찾아 나선다.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나를 찾아 헤매는 여정. 나를 아는 사람이 없을까. 

 파트릭 모디아노의 대표작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는 기억을 잃은 한 남자가 자신을 찾아나서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기’로 불린 삶이 아닌 본연의 이름과 삶을 찾아가는 과정은 한 가닥 떠오르는 기억도 없어 무기력하기만 하다. 그가 찾아낸 단서들은 낡은 상자 속에서 잠자던 몇 장의 사진들, 과거의 자신을 어렴풋이 기억하는 정원사, 사진사, 여전하게 낯선 사람들뿐이다.

 한 장이 낡은 사진 속에 함께 한 그들은 이미 죽거나 사라져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그 시절, 그가 그들과 함께 했던 시간들은 다시 돌아갈 수도 재생될 수도 없는 시간들이 분명하다. 왜 그곳에 있었는지 사랑하는 연인과 왜 헤어져야 하는지 자신을 기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에게 절실한 것들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이미 새로운 기억으로 가득찬 건물들은 그에게 아무런 위로도 주지 못한다. 다만 그 자리에서 만났던 바람, 나무, 느낌이 자신을 그 시절로 데리고 간다. 아, 사랑했던 여인, 함께 했던 친구들. 기억 속 세상은 어지러웠고 그들은 안전한 곳으로 떠나야만 했는지 알 수 없다.

 감성을 자극하는 서정적인 문장들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날 저녁 어느 카페의 테라스에서 나는 한낱 환한 실루엣에 지나지 않았다. p9 그 파동들이 때로는 먼 곳에서 때로는 더 세게 나를 뚫고 지나갔었다. 그러다 차츰차츰 허공을 떠돌고 있던 그 모든 메아리들이 결정체를 이룬 것이다. 그것이 바로 나였다. p.153 )과 그가 누구일까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오는 흡입력을 가진 매력적인 소설.  탐정이라는 직업적 암시는 자신을 찾게 되어 다행인 결말을 이끌어 낸다.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2번지>에서 그가 마주하는 것이 무엇이든 지난 날의 나를 확인한 그는 이제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과거와 너무도 다른 삶이라 할지라도.

 불확실한 자아에서 확실한 자아를 찾게 되었을 때, 진정 행복할 수 있을까. 내가 기억하는 삶, 타인이 나를 기억하는 삶이 한 곳에서 만날 때 기억은 완성되는 것인지 모른다. 빛바랜 사진은 삶을 살아내는 모두에게 존재한다. 현재라는 삶을 살고 있는 우리는 추억과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재생되는 그 시절로 때로는 위안을 얻는지도 모른다.  지갑 한 구석에 쑥스러운 웃음의 촌스러운 작은 여자 아이를 만나는 나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