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무런 증상 없이 어느 날 갑자기 나의 눈이 먼다면 과연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물론 살아있다면 시간이 걸리겠지만 차차 어둠의 삶에 익숙해지는 것이 인간의 습성이라고 해도 그것은 너무도 끔찍한 일이다. 주제 사라마구는 어떻게 이런 소설을 생각하게 되었을까.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를 통해 그가 인간 본질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하는 작가가 아닐까 어렴풋이 생각했지만, 눈먼 자들의 도시를 만나고 보니 그가 더 궁금해진다.

 나만이 아닌 세상 모두가 동일한 조건에 눈이 먼다면, 그것을 받아들이는데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허나, 점진적으로 세상에 눈 먼 자들이 늘어난다면 제발 내 차례가 오지 않기를 모두가 바랄 것이다. 이유를 찾을 수 없기에, 다수를 위해 소수의 전염자들을 정부는 공권력이라는 이름하에 감금한다. 그것은 마치 정부가 행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인 양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인간은 쉽게 동요한다. 죽음을 몰고 오는 전염병이 아니더라도 SARS, 조류 독감같은 경우에도 인간은 아무리 안전하다고 강조해도 닭고기를 먹지 않으며 중국이라는 단어조차 말하기를 꺼려하지 않았는가. 인간은 이처럼 단순하며, 이기적이다. 물론 그것은 당연한 일 인지 모른다. 하여, 의사의 아내는 홀로 눈이 멀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하기 두려웠을 것이다. 자신이 눈먼 자들에게 위협을 당할 수도 있으며, 그들의 노예가 될 수도 있었으니, 그녀는 그들과 같이 눈 먼 자로 남아야만 했다. 그러나 그것은 얼마나 잔인한 고통인가.

 사람들은 불과 몇 시간만에 이성과 사회규범을 잃어버리고 혼돈의 세상에 빠져버리고 만다.  한 순간, 나는 마치 내 눈이 멀 것만 같은 두려움이 느껴졌다. 왼쪽, 오른쪽을 번갈아 막아가며 나의 눈이 볼 수 있음을 확인하고 있었다. 어처구니 없지만, 나는 꼭 확인해야만 했다. 눈먼 세상은 약육강식이 지배하는 동물의 왕국으로 변해버렸다. 아니, 차라리 동물의 왕국처럼 체계가 있었다면 나았으리라

 먹을 것을 시작으로 숨어있어서 차마 드러내지 않았던 인간의 탐욕은 눈이 멀고서도 드러난다. 살아 남기 위한 본능적 욕구를 이용하여 여자를 농락하고, 사랑하는 아내를 구할 수 없는 사람들이 되버린다. 끝내, 의사의 아내는 그들을 살인하기에 이른다.  전쟁터가 이러했을까. 그 안에서 인간이므로 가져야 할 본질은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그 추악한 모습이 본질일까.

 이제 누구라 할 것 없이 모두가 눈이 멀고, 그 안에서 새로운 사회가 구성되고 새로운 규범이 생겨난다.  서로가 협력하여 선을 이루라고 했던가, 그렇다면 선이라는 것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인가. 본다는 것으로 선의 역할이 맡겨진 의사의 아내, 그녀는 진정 볼 수 있다는 이유로 그들을 이끌고 돌봐야만 하는가. 누군가 묻는다면 그렇다라고 말할 자신이 없다. 영영 그들이 아무 것도 보지 못한대로  소설이 끝나지 않는다면 어쩌나, 덜컥 겁이 났던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본문 461쪽

 주제 사라마구가 『눈먼 자들의 도시』를 통해 보여준 인간의 본질, 그것은 우리의 사회의 모습과 같은지 모른다. 눈을 뜨고 있어도 우리는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저 쉽게 생각하고 시류에 휩싸여 행동하는 어리석음, 그 안에서 제대로된 시선으로 선을 행하는 자는 누구일까. 『눈 먼 자들의 도시』는 신비의 거울처럼 위기에 처한 인간들의 내면이 변모하는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경고한다. 

 다행스럽게도 주제 사라마구는 눈먼 자들이 서로를 이해하려 하고 함께 협력하여 살게 되었을 때 점진적으로 눈이 멀었던 것 처럼 다시 그들에게 눈뜬 자들로 돌아가게 한다. 그들에게 보이는 한 줄기 빛, 그것은 무엇일까. 새로이 만나는 세상에 빛과 같은 삶을 살라는 메시지는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