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백일몽이 아니라, 연결입니다. 현실과 연결되거나 혹은 다른 책과 연결됩니다
 
 과연 그랬다.한 권 한 권 그의 책을 만나보니 저 글귀가 맞춤이었다. 김연수의 책은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어 김연수라는 원을 그리고 있는 중이었다. 그리하여 김연수라는 원은 결코 완전한 원이 될 수 없다. 또한 독자는 김연수라는 원이 그려지기를 바라지 않는다. 계속 원을 향하여 나가기만을 희망한다. 혼란스러운 7번 국도를 여행하고 스무 살을 만난 것은 참으로 다행이다. 7번 국도에서 만난 그들을 이 단편집에서 만날 수 있을꺼라 상상한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외면하고 싶은 현실도 책에서 만나면 실제의 그것보다 조금 쉽게 받아들이게 된다. 현실에서 찾지 못한 이상을 우리는 소설에도 찾기도 한다. 아마도 작가 김연수가 그러하지 않았을까. 9편의 소설내내 작가인 화자가 등장한다. 김연수이거나 그의 그림자이거나. 다시 말하면 그는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어 좀 더 과감하게 좀 더 직설적으로 세상에 말을 건다.

 유머로 위장하여, 궤변에 궤변을 이어가며 자신이 겪은 스무 살을 회상한다.  <마지막 롤러코스터>, <뒈져버린 도플갱어>를 통해 현실에 살면서도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젊음을, <죽지 않는 인간>이라는 제목으로 이어지는 연작에서 그는 7번 국도의 그들을 다시 만나게 한다. 같으면서도 다른 그들을 부활시킨다. 죽지 않는 인간은 없다. 그렇기에 그는 소설속에서라도 죽은 자들을 살려내고 싶었던 것이다. 아니, 이미 많은 이들에게서 죽은 자로 기억된 그들을 잊지말라고 당부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전하게 온전한 그들이 아닌 결핍투성이인 그들을 기억하고 싶었던 것이다.  불안전한 스무 살에 대한 아련함도.

 그는 말한다. 스무 살이 지나고 나면, 스물한 살이 아니라 스무 살 이후가 온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정말 내게도 그랬다. 설렘과 기대로 시작된 20대의 첫 해, 열정도 없이 미흡하고 모자란 실수 투성이로  어떤 즐거움도 안겨주지 않았던 나의 스무 살, 그 이후는 그저 20대의 나머지로 기억된다. 작가 김연수가 겪었던 그 스무 살과 같은 시대가 아니더라도 우리에게 스무 살이란 형태는 달라도 본질적인 형질은 같다고 생각한다.

 싱그러운 나이, 청춘으로 대표되는 나이, 그러나 결코 눈부신 아름다움이 아닌 스무 살에 대한 자화상이다. 다른 듯, 같은 스무 살을 지나온 모든 이들의 자화상. 스무 살을 기대하는 어떤 이에게는 스무 살을 연결해주는 터널이 될까.  지나간 스무 살, 이제는 내게도 점점 가까이 다가오는 곱절의 나이. 작가 김연수는 내년에 그 곱접을 맞이한다. 그렇다면 그는 세상에 내놓을 마흔을 이미 준비해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