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랑한 밤길
공선옥 지음 / 창비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은 왜 이리 고단한 것일까. 입에서 단내가 나도록, 열심으로 살아내고 있는데 언제나 그 자리인 우리네 살림살이. 누구에게 하소연을 해야 할까. 그런 우리네 마음을 작가 공선옥은 너무도 잘 알고 있었다. 꾹꾹 눌러 담은 김장 김치처럼 12편의 단편들이 그 삶을 대변하는 듯하다. 그리하여 12편 모두를 읽어내는게 힘겨웠다. 그 힘겨운 편린들을 끌어안기에 나는 아직 삶에 대해 여유롭지 못하다.

 버스 차장을 비롯하여 많은 직업을 가졌다는 작가의 이력은 소설 속 많은 인물들의 삶을 진솔하게 담아낸다. 진심을 드러내지 못하고 겉도는 가족들, 이혼, 별거, 미혼모, 장애인, 외국인 노동자 등, 사회의 약자, 변방의 삶을 말한다. 어느 누구, 그리 살고 싶겠는가.  열심을 냈던 사업이 경기 침체로 무너지고, 갑작스레 찾아온 질병과 가난은 눈물까지 마르게 한다. 그럼에도 우리의 주인공들은 지나치도록 명랑하다.

‘꽃 진 자리’, ‘폐경 전야’ 에서의 바르고 모범적인 삶의 표본으로 여겨지는 교사들, 때로는 정열적으로 사랑하고 싶고 때로는 욕지거리 내뱉고 싶다. 시골 좁디 좁은 작은 방에서 미래를 꿈꾸던 ‘명랑한 밤길’속 스무살의 그녀들은 넓은 세상, 화려한 세상으로 달려나가고 싶다. ‘도넛과 토마토’, ‘별이 총총한 언덕’ 그녀들은 지긋지긋한 삶, 엄마라는 무거운 책임감, 놓아버리고 싶다. 새로운 삶을 위해 이혼을 선택하고 싶고 간절한 꿈을 다시 꾸고 싶다. 그러나 현실은 욕망을 감추어야 하고 늙은 노모를 병든 엄마를 돌봐야 하며 아이들을 지켜야 한다. 

 긴 투병생활, 남편의 죽음은 치매걸린 시부와 철모르는 세 아이가 남았다. 남편의 죽음보다 앞으로 살아야 할 자신이 너무 서러워 울어야 하는 삶.  몰려드는 수입 농산물, 그래도 농군은 농사를 지어야 하고 미혼모는 이해받을 수 없는 세상, 사랑했지만 아이가 아닌 자신을 선택하라는 남자. 자신의 뿌리를 찾았지만 어머니를 찾게 하지 않는 어머니의 나라. 이것들은 모두 피하고 싶은 감추고 싶은 사실이며 우리가 살아내는 삶이다.

 공선옥이 그려낸 인물군은 참으로 애처롭다.  그들은 자신이 가진 전부를 걸고 살아가지만, 세상은 언제가 그것을 빼앗거나 그 이상을 요구한다.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더 애처롭다. 문학이라는 것이 때로는 지친 삶을 위로하고자 적당히 포장하지 않는가. 놓아버릴 수 없는 삶,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삶, 말도 통하지 않고 월급을 받지 못해도 자신을 위로하는 한국의 유행가를 사랑하는 외국인 노동자들, 폭우로 가족을 잃고 남겨진 이들은 서로가 서로를 보듬고, 만나면 싸우는 명절. 공선옥은 그대로 보여준다.  그들의 옆 자리에 혹은 그들과 같은 곳에 그녀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녀는 결국 희망을 말하려 한다. 어두운 밤길, 명랑하게 집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노래를 통해, 다툼은 그만하고 서로를 이해하려는 가족들의 작은 노력을 통해, 힘들고 무서운 세상, 혼자보다는 함께 라는 것을 알기에 고단한 그들이 기댈수 있는 어깨를 그녀의 글을 통해 선뜻 내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