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런 사랑
이언 매큐언 지음, 황정아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사랑이라, 도대체 어떤 사랑이란 말인가. 요즘 이래 저래 내게 도전적으로 다가오는 사랑이라는 단어. 꼭꼭 곱씹어 그것이 가진 함축적인 의미를 맛보고 싶어진다. 더구나 이언 매큐언이 아니던가. < 첫사랑, 마지막 의식 >에서 그는 예상치 못했던 인간의 내면 구석구석을 파헤져 놓았다. 이성적으로는 도저히 받아들 수 없는 상황 설정, 그 안에서 그가 던지는 질문은 도덕성과 자유분방한 문란함을 동시에 생각하게 했다.
이 책에는 어떤 사랑이 있을까. 짧은 생각을 이어가기도 전에 이언 매큐언은 강한 흡입력으로 책 속으로 독자를 유인한다. 한가로운 피크닉의 풍경, 낭만적인 헬륨풍선을 떠올리면 그것은 행복한 상상으로 이어져야 마땅하다. 그러나 그것은 너무도 불행한 일들의 시작에 불과했다. 풍선에 타고 있던 아이를 구하기 위해 달려든 남자들 중에 조와 클라리사의 일상에 들어온 한 남자, 패리와의 만남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첫 눈에 반한 사랑, 패리는 조에게 그런 사랑을 느꼈다. 동성애를 생각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서로 상호적인 교류가 없다는 것이다. 맹목적인 그의 접근은 조를 당황하게 만들고 만다. 패리는 조의 곁에서 맴돌기 시작한다. 점점 조여드는 그의 행동에 조는 그가 정신질환인 드 클레랑보 신드롬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그는 중요한 것을 잊었다. 바로 그의 곁에 있는 클라리사에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지 못한 것이다. 패리의 전화가 걸려온 그 날, 바로 클라리사에게 이야기했어야 했다.
사랑하는 사이의 관계라는 것은 참으로 미묘한 것이다.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고 사랑하면 살아왔지만 어느 순간, 보이지 않는 틈은 그 둘의 관계에 벽을 만들고 만다. 패리로 인해 조와 클라리사는 보이지 않는 벽을 쌓기 시작한다. 클라리사는 패리의 문제를 자신과의 많은 대화로 풀기를 원했다. 조가 자신에 대한 불신을 품었다는 것에 큰 상처를 받게 된다.
조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패리를 향해 어떤 행동을 해야 했을까. 자신을 죽이려 했던 사람, 사랑하는 클라리사를 위협하고 자신앞에서 자살을 시도한 사람에게 그가 총을 겨눈 것은 자신을 지키기 위한 본능은 아니었을까. 그럼 그가 원했던 것은 무엇일까. 조와 이야기를 나누고 조가 그의 사랑에 대해 호응만 했더라면 그가 조 대신 누군가를 죽이지 않게 되었을까. 그러나 어떤 답도 정답은 없다. 어느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사랑은 이렇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클라리사와 조의 관계는 예상대로 멀어지고 있다. 조는 클라리사가 자신을 구하기 위해 패리에게 총을 쏜 일에 감격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클라리사는 이런 결말을 이끌어 낸 조에 대해 이미 많은 믿음을 상실한 상태였다. 과학분야의 저널리스트인 조는 과학적이지도 이성적이지도 못했다.
자신의 마음을 자신의 고통을 보여주고 싶었던 조, 결코 평범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그에게는 전부였던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한 남자 패리. 자신에게 모든 것을 열어주지 않았던 조를 이해할 수 없었던 클라리사. 일상적일 수 있는 사소한 사건으로 시작되었지만 언제나 맞닥들 일 수 있는 사랑이라는 것. 그것은 끔찍한 진실이다.
이언 매큐언은 대중적이지 않은 소재를 대중적으로 이끌어내는 힘을 가진 작가다.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에 흐르는 감정을 탁월하게 묘사한다. 그만이 그려낼 수 있는 인간의 처절한 고통, 인간의 본능적 양면성을 만나는 것을 즐거운 일이다. 그의 소설에는 항상 치명적인 무엇이 함께 한다. 그래서 두렵기도 하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인 작가다.
니체가 말했다. 사랑이 두려운 것은 깨지는 것보다도 사랑이 변하는 것이다 라고. 깨지는 것 보다 변하는 그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배제되는 그것이 두려운 것이다. 수많은 형태로 존재하는 사랑들, 그 사랑들 중에 이런 사랑도 분명 존재할지 모른다. 사랑은 참으로 무서운 것이다.